16.7Km 2025-03-18
대전광역시 대덕구 중리북로37번길 26
042-623-1040
대전 대덕의 뿌리가 되는 회덕이 회덕 1·2동으로 분동 되었다가 APT 단지가 들어서면서 회덕 2동에서 분동된 중리동은 일반 주거지역과 APT 단지 등이 혼성된 지역특성을 가지고 있다. 1988년 이 지역의 생필품 등 과일, 야채 생선 판매 등 주부들의 장바구니 시장으로 시작한 중리시장은 계속 번창하여 현재 140여 개가 넘는 점포에 1일 2,500여 명의 고객이 이용하고 있다. 현대화를 위한 각종 친절교육 및 상인 마인드 개선 등에도 상인회가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중리시장은 주부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좋은 재래시장’으로 계속 발돋움하고 있다.
16.7Km 2024-12-02
대전광역시 동구 옛신탄진로 13
042-627-9972
동죽으로 국물을 낸 칼국수 전문점이다. 물총(동죽 조개탕)을 주문하면 냄비 위까지 봉긋하게 솟아 있는 동죽의 푸짐한 양에 깜짝 놀라게 된다. 멸치와 동죽을 넣고 끓인 국물에 매콤한 맛을 더해 다소 심심할 수 있는 국물 맛을 한층 끌어올려 준다.
16.7Km 2024-06-24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288번길 19
카라멜은 대전광역시 중구 선화동에 있는 양식 전문 음식점이다. 현대적인 감각이 돋보이는 외관과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대표 메뉴는 뇨끼며 이 밖에 알리오 올리오, 카르보나라, 라구 파스타, 명란 파스타 등이 준비되어 있다. 대전IC와 대전 지하철 1호선 중앙로역에서 가깝다. 주변에는 대전중앙시장과 대동하늘공원이 있어 연계 여행에 나서기 수월하다.
16.7Km 2025-05-07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양화리 은행나무로 알려진 세종리 은행나무는 세종시에서도 워낙 유명하여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부안 임씨 사당인 숭모각 앞에 심어진 은행나무는 높이 20m, 둘레 6m 크기로 사당 방향 오른쪽이 수나무, 왼쪽이 암나무가 자리하고 있다. 암나무는 갸름한 형태로 쫑긋하게 서 있으며 수나무는 둘레가 두꺼우면서도 웅장한 모습으로 임난수 장군을 기리는 숭모각의 수호신처럼 좌우를 지키고 있다. 2022년 5월 12일 세종시 첫 천연기념물로 지정되면서 이름도 연기 세종리 은행나무에서 천연기념물 ‘세종 임난수 은행나무’로 명칭이 바뀌었다. 고려말에 이곳으로 낙향한 전서 임난수가 심은 것으로 압각이라 부른다. 압각수 즉 기러기처럼 생긴 나무로 불리는 은행나무는 고려말에서 조선시대에 사대부 집안에서 많이 심는 나무이다. 기러기는 재혼은 하지 않아 정절을 의미하고 날아갈 때 질서 정연하며 대장을 중심으로 계급이 정해져 있다는 점이 사대부의 생활방식과 일맥상통한다. 임난수 은행나무는 역사성과 상징성만큼이나 신묘한 전설이 내려온다. 일제 강점기 일본 사람들이 배를 만들기 위해 톱으로 나무를 베려고 하자, 나무가 웅 소리를 내고 울어 베지 못했다고 한다. 또 임진왜란 시, 한국전쟁 발발 시, 세종시 출범할 시에도 울었다고 한다. 이처럼 임난수 은행나무는 기쁘거나 슬플 때 표현한다고 전해지고 있다.
16.8Km 2025-03-16
충청남도 공주시 백제큰길 2104
웅비탑은 공주시 곰나루국민관광단지에 세워진 탑이다. 충남의 역사, 문화를 바탕으로 충남의 새로운 출발을 조형적으로 표현한 웅비탑은 충청남도 개도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했다. 밝고 희망찬 21세기를 향하여 웅비하려는 도민의 염원을 담긴 탑이다. 조형물의 구성은 탑신부, 기단부, 조각상으로 했다. 탑신부는 백제의 예술성을 형상화했고, 기단부는 20세기의 디딤돌을 상징하는 20계단과 100주년을 기념한 100평의 지하 공간을 만들었다. 조각상은 백제금동대향로 등 백제문화를 형상화했다. 주변에는 고마나루, 공주한옥마을, 국립공주박물관, 금강온천 등의 관광지가 있다.
16.8Km 2024-05-20
대전광역시 대덕구 한밭대로 1153
오문창순대국밥은 대전시 대덕구 중리동에 있다. 대표 메뉴는 머리 고기를 풍성하게 넣은 순대국밥이다. 파와 새우젓으로 만든 양념장을 기호에 맞게 넣어 먹는다. 순대국밥 외에 순대국수, 곱창볶음, 족발, 머리 고기, 모둠순대 등도 판다. 음식점은 대전 IC와 가깝고, 주변에 대전시립미술관, 한밭수목원, 엑스포과학공원이 있다.
16.8Km 2024-08-12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덕고개길 12
아리에떼는 세종시 장군면 남평읍 대교리에 자리 잡고 있다. 대표 메뉴는 수제 먹물 치아바타 속에 아보카도 스프레드, 구운 새우가 들어간 샌드위치와 해쉬브라운, 달걀프라이, 소시지, 샐러드가 나오는 아보카도 새우 플레이트다. 이 밖에 꽃차, 아메리카노, 초코나무숲, 아인슈패너, 베이컨 치즈 플레이트, 불고기 플레이트, 라구파스타, 불고기 크림파스타 등을 판다.
16.8Km 2024-05-29
대전광역시 대덕구 한밭대로1159번길 11
042-625-5248
대전 대덕구 중리동에 위치한 은혜식당은 한우 사골로 만든 육개장, 미역국, 선짓국을 식사 메뉴로 고등어구이, 계란말이 등을 사이드 메뉴로 내놓고 있는 음식점이다. 은혜식당은 가성비 좋은 집밥과 같은 음식을 취급하고 있어 지역 주민들이 집밥과 같은 편안한 음식이 생각날때 많이 찾고 있다. 또한 개업 수육, 행사 음식, 단체 도시락도 취급하고 있다. 이 음식점은 대전 중앙부에 위치해 있으며 한밭대로와 가깝다. 대중교통은 대전 시내버스 102번, 605번, 611번, 706번, 802번을 이용할 수 있다. 주변에는 한밭대학교가 있다.
16.8Km 2025-01-06
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129번길 30 (선화동)
010-2327-2955
2015년 데뷔한 문구브랜드 ‘프렐류드 스튜디오(Prelude Studio)’는 실용적이고 컨셉추얼 한 문구를 컬러풀하게 디자인한다. 프렐류드(Prelude)란 음악에서의 도입곡, 서곡을 의미하는 말로 뮤직 앱에서 30초 미리 듣기를 했을 때 첫 도입부가 좋으면 끝까지 좋았던 경험에서 짓게 된 브랜드 네이밍이다. 좋은 문구로 기록을 시작한 순간이 성장을 향한 첫걸음이 되는, 그 성장의 기록이 당신의 삶에 선물 같은 여정을 만들어주는 것이 프렐류드가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전하고 싶은 문구의 방향성이다.
16.8Km 2025-03-16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황룡재로 92-18
송불암(논산)은 충남 논산시 동부 연산면 소재지 근처에 자리한 작은 태고종 사찰이다. 이곳은 소나무와 불상이 묘한 조화를 이루며 어우러지는 곳이다. 송불암이라는 명칭은 미륵불 바로 옆의 노송이 불상과 조화를 이루며 지붕처럼 퍼져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송불암이 위치한 자리에는 본래 고려시대부터 석불사라는 사찰이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다고 한다. 이후 1946년에 송불암으로 재건되었다. 이곳의 미륵불 불상은 고려 후기 내지는 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양쪽 어깨에 걸치고 있는 옷은 가슴 부분에서 U자형을 이루었고, 옷자락의 주름은 얕은 선으로 조각하여 발목까지 내려왔다. 왼손은 가슴에 대고 있으며, 오른손은 몸의 측면에 붙이고 있다. 이러한 미적,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1984년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송불암(논산)은 국도 1, 4호선과 지방도 697호선에서 황룡재로를 통해 방문할 수 있으며, 고속도로는 호남고속도로 지선 양촌하이패스 IC와 논산천안고속도로 서논산 IC가 가깝다. 주변에는 연산역, 연산시장, 온빛자연휴양림, 계룡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