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잔디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꽃잔디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꽃잔디식당

꽃잔디식당

15.8Km    2024-02-21

대구광역시 달성군 달구벌대로 750

꽃잔디식당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 있다. 예스러운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의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오직 아귀찜 요리 하나만 하는 집으로 대표 메뉴는 전통 아귀찜이다. 음식을 주문하면 영양돌솥밥이나 바지락칼국수 중 한 가지를 선택해 맛볼 수 있고 순살 아귀찜도 판다. 대구 지하철 2호선 다사역과 다사 IC에서 가깝다. 인근에는 달성문화센터와 다사 근린공원, 강정보 유원지, 강정보 디아크 광장이 있다.

정담반점

15.9Km    2024-01-04

대구광역시 달서구 진천로 11

정담반점은 맵고 자극적인 짬뽕이 맛있는 집이다. 인테리어도, 청결도 깔끔하다. 조개 우동이 있는데 시원한 맛에 해장으로 적합하다. 또한 빨간짬뽕은 마라향이 가미된 개운하고도 진한 국물맛을 낸다.

천성암(경산)

15.9Km    2024-06-11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갓바위로 216-111

예부터 영남 지방의 명산이라 불리는 팔공산에 위치한 천성암은 통일 신라 시대 의상대사(625~702)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사찰로 창건 시기에 대한 문헌이나 유물은 유존하지 않는다. 천성암에는 사리굴 전설이 전해지는데, 창건 당시 천성암에는 하루에 한 사람만 먹을 수 있는 양의 쌀이 나오는 바위 굴이 있었다고 한다. 주지는 매일 같이 나오는 쌀로 부처님께 공양을 올렸고 이로써 큰 불편함 없이 지냈다고 한다. 이후 주지가 바뀌었는데 새로 온 주지는 매일 한 끼 정도의 쌀만 나오는 데 대하여 욕심을 품고 하루는 큰 막대기로 바위 구멍을 팠다. 그러자 구멍 속에서 쌀 대신 구정물이 나왔다고 한다. 현재 그 자리에는 용왕당이 있다. 천성암에 대한 기록은 6·25전쟁 직후 처음 확인되었으며, 주불전인 극락전을 비롯하여 산령각, 자광전, 요사 등의 전각과 선묘정이라고 칭해지는 우물, 의상대사가 심었다고 전하는 천도복숭아나무, 참선바위에 있는 작은 규모의 칠층탑이 있다. 극락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 기와지붕 구조로 아미타불상을 주존불로 지장보살상과 관음보살상을 협시로 봉안하고 있다. 극락전에는 닫집이 따로 없고 후불탱화 3점이 봉안되어 있다. 산령각은 정면과 측면이 각각 1칸인 맞배 기와지붕 구조로, 산신이 호랑이를 타고 있는 신중탱화 등 2점의 탱화가 조성되어 있다. 이 외에 정면 3칸, 측면 1칸의 요사와 패널로 건축한 요사 2동이 있다. 의상대사가 식수로 쓰던 선묘정은 겨울에도 도롱뇽이 서식한다고 한다.

커피명가 본

커피명가 본

15.9Km    2024-02-19

경상북도 경산시 임당로 230

커피명가 본은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금구리에 있는 대형카페다. 모던한 외관과 깔끔한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창밖으로 보이는 전망이 좋아 찾는 이가 많다. 대표 메뉴는 마이크로랏 커피와 말차 명가치노다. 이 밖에 아메리카노, 수박스무디, 아이스크림 쉐이크 등을 맛볼 수 있고 브런치 메뉴와 베이커리도 있다. 10살 이상부터 카페 출입이 가능하다. 주차장이 넓어 편하다. 경산IC에서 가깝고, 인근에 반야월연꽃단지와 금호강 안심습지가 있어 연계 여행에 나서기 좋다.

파브롯

15.9Km    2024-01-31

경상북도 경산시 펜타힐즈2로 65

소금빵(시오빵)으로 유명한 베이커리 가게이다. 소금빵은 버터를 섞은 빵반죽에 다시 버터를 넣고 말아 구워도 없어지지 않는 특제 소금을 뿌려 구워낸 빵이다. 바게트처럼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하고 쫄깃한 빵으로 가장 인기있는 메뉴이다.

부귀사(영천)

부귀사(영천)

16.0Km    2025-06-27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칠밭골길 446

부귀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의 말사이다. 부귀사의 자세한 연혁이 전하지 않지만, 591년에 혜림법사가 거조암과 동시에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고려 때 보조 국사가 주석으로 있었다고 전하며, 1481년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 1799년에 편찬된 「범우고」에 절 이름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도중에 폐사되지 않고 명맥을 이어온 것으로 보인다. 1873년에 담운이 중창한 바 있고, 1882년 지금의 자리로 이건 하였다. 건물로는 법당과 요사채가 있으며, 보화루에 있는 「종각중수기」, 「부귀사게판기」, 「부귀암중수기」 등의 기문을 살펴보면 당시의 사찰 규모의 단편을 알 수 있다. 2000년에 아미타 도량을 세우기 위하여 중창 불사 발원 기도를 올린 뒤 불사를 하였다. 부귀사 내 건물로는 극락전, 보화루, 신검당, 산신각과 요사채 등이 있다. 부귀사 극락전에 1754년에 조성된 부귀사 미타회탱이 있다.

선사시대로 거리박물관

16.1Km    2025-03-19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배로 · 상화로 일원
053-667-2191

선사시대로 거리박물관은 박물관과 역사책에서만 볼 수 있었던 달서구에서 발굴된 방대한 양의 선사시대 유물들을 더 많은 대중들에게 널리 쉽게 알리고 특히 유소년층을 위한 교육적인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지역 내에 발굴된 실제 선사 유물들을 선별한 후 1:10 확대 스케일의 전시 조형물로 제작하여 실제와 똑같이 재탄생시켰다. 달서구 진천동 거리 곳곳에 전시하여 지역 전체를 '살아있는 박물관'으로 만들고자 조성되었다. 월배 선상지를 중심으로 수많은 선사유적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을 선사시대 테마거리로, 대구 삶터의 뿌리인 이곳을 선사시대 랜드마크로 조성하고자 하는 달서구의 관광 콘텐츠 사업이다. 거리에 있는 작품들을 통하여 지역의 선사문화를 더욱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고고학적 가치를 재정립함과 동시에 지역의 유구한 역사의 전통성을 이어받아 소중한 역사와 문화자산을 미래세대에게 계승하기 위한 것이다.

부천성

부천성

16.2Km    2024-10-08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73-2
053-814-5042

정통 중화요리와 퓨전 중국요리를 가미한 현대식 중국요리 레스토랑이다. 남천강변의 전망을 한눈에 안고 맛있는 음식과 친절한 서비스로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공간이며 가족모임, 비즈니스 모임 등을 위한 연회장도 완비되어 있다. 구수하고 부드러운 해물누룽지탕과 바삭하고 달콤한 탕수육이 별미이다. 매장내부에는 단체석이 있어 단체로 이용이 가능하며 식당 전용 주차장이 있어 주차걱정 없이 편안하게 식사가 가능하다.

손중헌원조논메기매운탕

16.2Km    2025-03-24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부곡2길 7-9
053-583-0174

손중헌원조논메기매운탕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에 위치한 유명한 매운탕 전문 음식점이다. 이곳은 신선한 논메기를 사용한 매운탕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깊고 진한 국물 맛이 특징이다. 손중헌원조논메기매운탕은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곳으로, 특제 양념과 신선한 재료를 사용하여 매운탕의 풍미를 극대화한다. 또한, 매운탕 외에도 다양한 한정식과 반찬이 함께 제공되어 더욱 풍성한 식사를 즐길 수 있다. 식사 공간은 아늑하고 깔끔하여, 가족 단위 방문객이나 친구들과 함께 즐기기 좋은 장소이다.

기러기농장가든

기러기농장가든

16.2Km    2025-06-26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용매로 788
054-382-6337

경상북도 군위군에 위치한 기러기농장가든은 농림부에서 지정한 위해 요소 중점관리(HACCP) 인증 사료만으로 사육하고 있으며, 손님들이 안심하고 맛있게 드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대표메뉴는 기러기 요리이며 그 외에 오리불고기, 토종닭 요리인 한방백숙, 닭볶음탕의 메뉴가 준비되어 있다. 매장 내부에는 별도의 룸도 존재하고 있어 프라이빗한 식사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