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7Km 2024-01-30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주천면 미다리길 50-24
보보스캇 펜션 캠핑장은 영월 주천면 판운리에 위치한 펜션 겸 캠핑장으로 8,000여 평의 너른 부지에 통나무집, 황토집 등 다양한 펜션 건물과 함께, 수영장, 놀이터, 운동시설, 강당, 산책로, 캠핑장을 갖춘 대규모 관광농원이다. 특히 캠핑장을 가로지르는 150m에 이르는 메타세쿼이아 터널길이 유명하고, 아이들을 위한 깡통 열차를 운행하고 있어서 인기가 많다. 캠핑장은 바닥은 파쇄석이고, 크기나 타프 여부가 다양하여 선택의 폭이 넓다. 위치적으로 영월은 물론 평창이나 원주, 정선 등으로 여행을 하기도 좋다.
16.7Km 2024-07-25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주천면 중선로 215
영월의 주천면에 위치한 호식이 캠핑장은 법흥 계곡에서도 더 들어간 중선계곡에 위치한 오지 캠핑장이다. 고지대로 1급수 계곡이 흐르고 모기가 없다. 크게 3개 구역으로 나눠서 있고 총 25개의 사이트가 있다. 바닥은 파쇄석이고 계곡을 바라볼 수 있다. 계곡은 아이들이 놀기 좋게 얕고 넓다. 나무가 울창해서 타프가 없어도 그늘이 충분하다. 매점이나 인근 가게는 없어서 미리 영월 시내에서 장을 봐오는 것이 좋다.
16.7Km 2024-06-21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주천면 장충동길 242
033-374-1112
평창 강 바로 앞 언덕에 위치한 엘솔에는 모든 객실이 강물을 조망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사시사철 아름다운 자연이 흐르는 엘솔펜션에서 진정한 휴식과 힐링을 경험할 수 있다.
16.8Km 2025-03-18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보덕사길 34
보덕사는 신라 문무왕 8년(668) 의상조사가 ‘지덕사’라는 이름으로 세운 절이다. 1161년(의종 15)에 운허가 중창하였고, 그 뒤 원경국사가 극락보전, 염불당, 고법당, 침운루 등을 중건하였다. 1457년(세조 3)에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봉, 유배되자 사찰 명을 ‘노릉사(魯陵寺)’로 개칭했다. 1705년(숙종 31)에는 한의와 천밀이 대금당을 건립하였다. 그 뒤 단종의 능인 장릉(사적)의 원찰로 지정되면서 영조 2년(1726)에 보덕사로 이름이 바뀌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극락보전을 비롯하여 퇴락한 대현전, 목우실, 산신각 · 심검당, 칠성각, 사성각, 객방 등이 있다. 이중 극락보전은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지금 있는 극락보전은 조선 후기의 양식을 갖추고 있는 건축물이다. 이 극락보전 안에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영월 보덕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이 봉안되어 있다. 본존 아미타불상의 좌우에 관음, 대세지보살상을 협시로 삼존상을 이루고 있는데, 복장에서 발견된 조성원문을 통해서 조선 숙종 13년인 강희 26년(1687)에 탁밀비구가 수화승을 맡아 조성한 불상임이 밝혀졌다. 보덕사의 해우소는 여느 화장실과 다르다. 해우소는 ‘근심을 해결하는 장소’라는 뜻의 사찰에서 화장실을 이르는 말이다. 전통적 형식을 지닌 보덕사 해우소는 앞뒤 2열로 나누어 각각 6칸씩의 대변소를 배치하여 남녀의 사용을 구분하면서 12명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지혜를 엿볼 수 있는 건물이다. 상량문을 통해 조선 고종 19년(1882)에 세운 건물임을 알 수 있는 이 해우소는 세워진 지 오래되었음에도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다.
16.8Km 2025-04-23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보덕사길 34
세심다원은 단종의 영정을 모시고 있는 보덕사에 자리잡고 있는 아담한 전통찻집으로, 연꽃이 활짝핀 연못과 오래된 역사를 간직한 나무를 품고있는 고즈넉한 카페다. 카페 내부에서도 보이는 보덕사의 풍경은 일상생활 속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치유해 준다. 면역력을 높여주는 전통차와 젊은 이들도 좋아하는 아메리카노, 에이드, 스무디, 팥빙수 등 다양한 메뉴를 판매하고 있어 절을 찾는 관광객들이 필수로 방문하는 카페다.
16.8Km 2025-01-16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외반점길 102-25
033-562-5768
은하수와 여울 펜션은 정선군 지정 관광펜션이다. 펜션 앞으로 조양강이 시원하게 흐른다. 아우라지에서 구절리까지 레일바이크가 연계되어 레일바이크를 즐길 수 있고, 펜션에서 출발하여 상정바위까지 등산코스가 있으며, 2시간 소요로 청정숲길을 거닐면서 심신을 단련시킬 수 있다. 도심에서 벗어나 자연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싶다면 은하수와 여울 펜션 방문하는 것을 추천한다.
16.9Km 2025-01-07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화면 선애길 88
평창군 대화면에 위치해 직접 키운 농산물로 준비된 기본반찬과 국내산 오리와 닭을 한방제와 함께 조리하여 판매하는 한식당이다. 백숙 메뉴들은 1시간 전에 미리 예약하면 기다리지 않고 먹을 수 있다. 대표메뉴는 능이오리백숙이며 그 외에 한방오리백숙, 옻오리백숙, 닭볶음탕 등 다양한 메뉴가 준비되어 있다. 매장 내부에는 단체석이 있어 단체로 이용이 가능하다.
16.9Km 2025-03-18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화면 선애길 90
평창강 위에 선애교라는 이름의 교량이 놓이지 않았을 때에 이 마을에 들어가려면 배를 타야만 했다. 배를 타고 언덕을 올라가듯 한다고 해서 배두둑이라는 마을 이름이 생겨났다. 이 마을은 원래 소나무가 많은 언덕이라고 해서 솔언덕이라고도 했다. 배두둑 마을은 평창강을 건너서 산자락 밑에 아늑하게 자리 잡은 곳으로 좌청룡, 우백호의 풍수지리에 잘 맞는 지형이다. 장미산, 승두봉 등이 병풍처럼 둘러 쳐져 마을에 들어서면 분위기가 아늑하다. 감자와 배추 등 농산물과 민물고기가 많이 생산되는 산촌이다.
16.9Km 2025-03-18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평창읍 원당리 261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 원당리에 있는 길이 6㎞의 계곡이다. 이곳은 평창강 유원지와 뇌운계곡에 가려 그다지 많이 알려진 곳은 아니다. 따라서 인적이 드문 이곳은 그대로 보존된 원시계곡의 아름다움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또한 물이 깊이 않고, 물살이 거세지 않아 우리나라 토종 어종인 쉬리를 비롯하여 다양한 민물고기들의 서식지가 된다. 계곡 끝자락 산 중턱에는 ‘백덕사’라는 절이 있다. 새벽예불과 더불어 아름다운 일몰과 출몰을 볼 수 있는 해맞이 장소로도 사랑받고 있다. 백덕사 주변에는 야영장이 많이 있어 도시를 벗어나 자연 속에서 조용한 여행을 즐기려는 캠핑족들에게 더할 나위 없이 적합한 장소이다. 주면 명소로 금당산, 율곡선생사당, 뇌운계곡, 봉황대, 금당계곡, 무이골 등이 있다. (출처 : 강원특별자치도청)
16.9Km 2024-12-17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화면 대화중앙로 31
아승순메밀막국수는 ‘공이’ 국수 전문점으로 ‘공이 2인분’, ‘공이 3인분’처럼 인원수에 맞게 주문하면 된다. 공이 막국수를 주문하면 메밀국수 덩어리와 채소, 계란 지단, 오이, 육수, 양념장이 제공되는데 취향껏 조합하여 간장, 비빔, 물막국수로 만들어 먹는 재미가 있다. 또한 쫄깃한 감자만두와 담백한 꿩만두도 맛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