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문화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담양문화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담양문화원

담양문화원

9.8Km    2025-03-1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죽향문화로 35

비영리 문화 예술 기관으로 담양 지역의 문화 사업과 사회 교육 사업 및 향토 문화 연구는 물론 각종 행사 등을 시행하고 있다. 지역의 고유 문화의 계발, 연구, 조사 및 지역 문화 행사의 개최, 활발한 국내·외 교류 등을 통해 지역 주민들의 문화 생활의 질을 높이고, 수준 높은 문화 예술을 보급하며, 지역 문화의 창달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주요 활동으로는 담양 선인들의 문학과 학문, 의병정신 등 인문정신의 전통 계승을 위한 현장활동, 담양의 지역민뿐만 아니라 관광객까지 대상을 확대한 문화체험, 담양의 상징인 대나무를 주제로 하는 다양한 문화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청전식육점식당

청전식육점식당

9.8Km    2024-08-21

전라남도 담양군 무정로 48

식육점 직영 식당이라면 고기의 질은 이미 보장되어 있는 곳으로 담양 현지인들이 강력히 추천하는 고기 맛집이다. 생고기 2인분을 시키면 솥뚜껑에 고기를 구워준다. 같이 곁들여 나오는 돼지김치찌개는 속까지 칼칼하게 데워준다. 기본 반찬도 모두 평균 이상의 맛이다. 고기 퀄리티에 반하고 상차림에 또 한 번 반하는 맛집이다. 근처에 죽녹원, 메타프로방스 등이 있어 연계 관광하기 수월하다.

남희정

남희정

10.1Km    2024-10-28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 향약의 시행처로 사용되었던 정자, 남희정 *

남희정은 1857년(철종 8) 당시 부사 황종림(府使 黃鐘林)이 지은 정자로 북(北)은 관어대(觀魚臺), 남(南)은 남희정(南喜亭)이라 하였다. 두 정자를 지은 목적은 양로(養老)와 교육(敎育)이였으며, 두 정자를 노인들에게 사용하게 하여 강학(講學)과 향약(鄕約)의 시행처로 사용하게끔 하였다. 이처럼 향약의 시행처로 정자가 사용됨은 매우 중요한 사례라 할 수 있다.

* 남희정의 구조 *

정자의 구조를 살펴보면 사방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자의 내부에는 기, 명공기, 계헌 등이 걸려 있다. 정면 2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내부의 가구 구조는 모임지붕처럼 중앙을 향하여 서까래와 추녀가 모이고 이 부분에 연등천장을 설치하였다. 바닥의 구성은 바닥 전체를 누마루로 깐 무실형(無室形) 정자이다. 대지의 위치가 높기 때문에 누마루가 높지 않다. 또 3면(面)을 평난간으로 돌린 단촐한 정자이나 서까래와 부연을 둔 겹처마로 단청은 호화롭다.

[문화재 정보]
*지정종목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지정연도 : 1984년 2월 29일
*시대 : 조선
*종류 : 누정

덕인관

10.1Km    2025-04-22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죽향대로 1121
061-381-7881

1963년 ‘덕인음식점’이라는 이름으로 개업해 60년 이상의 역사를 이어오고 있는 식당이다. 대한민국식품명인 82호 육류(가리구이) 제조 분야에 지정된 박규완 명인이 운영한다. 초창기에는 전통 갈비를 기본으로 한 한정식을 내놓았다가, 현재는 떡갈비 전문 음식점으로 자리 잡았다. 명인의 비법이 담긴 양념으로 재운 한우 암소갈비를 사용한다.

순창장류체험관

순창장류체험관

10.2Km    2024-10-10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민속마을길 55

전통 고추장 민속 마을 앞에 위치한 순창장류체험관은 순창 장류 전통의 맛과 멋을 그대로 이어가면서 장류 산업의 세계화를 널리 연구, 보급, 홍보하고자 설립된 체험관이다. 순창장류체험관에서는 대한민국 국가대표 고추장인 순창 전통 고추장을 직접 만들어 가져갈 수 있고, 순창 전통 고추장을 이용한 맛있는 요리를 직접 만들어 시식해 불 수 있는 열린 체험의 공간을 제공한다. 요리체험장, 야외학습장 등 전통 장류 체험에 필요한 다양한 시설들을 마련하였고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인들에게도 장류 문화를 체험하고 관광시킬 수 있는 체험관이다.

순창 전통고추장 민속마을

순창 전통고추장 민속마을

10.2Km    2024-12-04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민속마을길 5-13

순창 전통고추장 민속마을은 순창군이 전통장류산업을 활성화시키고 순창전통고추장의 명성과 전통적 제조비법을 이어가기 위해 조성한 마을로 3년여의 조성 기간을 거쳐 1997년에 생겨난 곳이다. 순창군 곳곳에 흩어져 있던 고추장 제조 장인들을 아미산 자락에 있는 순창읍 백산리 일대에 모아 전통고추장민속마을을 형성시켜 관광지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현대의 과학이 입증하는 위생적 요구와 맛과 성분이 그대로 살아있는 장인들의 비법이 잘 어우러져 위생적이면서 전통적인 본래 고추장의 맛을 만들어내는 곳이라 할 수 있다. 마을 전체가 고추장 판매장이자 관광지로, 집집마다 마당에 커다란 고추장과 장아찌 항아리가 가득하고 처마에는 메주가 주렁주렁 매달려 전통미를 더하고 있다. 순창전통고추장민속마을에서는 각 호의 고추장 제조 기능인들이 저마다의 고추장을 생산하여 판매하며, 재래식 된장과 간장, 감, 깻잎, 오이, 마늘, 고추, 도라지, 더덕, 매실 등으로 만든 절임류(장아찌) 20여 종을 취급하는데 가격은 집집마다 약간씩 다르다. 마을에서 제조되는 장류와 절임류의 품질관리는 순창군 장류사업소에서 맡고 있다.

순창맛집

10.2Km    2025-03-12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민속마을길 6-3
063-652-5999

순창 로컬푸드를 활용한 한식뷔페로서 순창고추장민속마을 내 위치하고 있다. 바로 앞 차량 100여 대 이상 주차 가능한 공영주차장이 위치해있다. 신선한 식재료와 농산물을 이용하여 요리한다. 고급스러운 실내 인테리어와 전통의 맛을 느낄 수 있는 한우 요리와 한식을 맛볼 수 있다.

순창장류축제

순창장류축제

10.2Km    2025-03-16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민속마을길 6-3
063-650-1624

*하기 축제 내용은 전년도(2024년) 축제 내용으로, 2025년도 축제 내용은 업데이트 중에 있습니다.*

전북특별자치도 순창은 천혜의 자연환경과 장류문화의 역사가 살아 숨쉬는 고장으로 대한민국의 대표 먹거리 고추장의 본고장이다. 순창에서 매년 가을 한국의 전통장류를 소재로 한 순창장류축제가 열린다. 전통장류를 소재로 한 체험 프로그램과 문화공연, 전시 및 판매 등 약60여개의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진행되며, 순창고추장으로 만든 매콤하고 감칠맛 넘치는 음식들을 맛볼 수 있다. '순창고추장 임금님 진상행렬' 퍼포먼스와 모두 모여 순창고추장, 된장을 만드는 체험 등 순창장류축제만의 특별하고 재미있는 프로그램들도 선보인다.

풍경의 아침

10.3Km    2024-07-31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궐전길 97
0507-1380-1741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에 위치한 풍경의 아침은 산으로 돌러쌓인 독채 한옥 펜션으로, 자연 속 평화로움과 한옥의 아름다움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숙소는 침실룸과 온돌룸, 거실, 주방, 화장실로 구성되어 있고, 야외에는 넓은 잔디마당과 예쁜 꽃밭, 장독대, 온실이 있어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미리 예약을 하면 장작불에 구운 가마솥 토종닭백숙을 먹을 수 있다. 내장산과 백양사가 가까워 단풍놀이를 즐기러 가기에 좋다.

순창장류박물관

10.3Km    2025-03-12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장류로 43

고추장의 고장, 전북 순창에는 고추장과 된장 등 전통 장류 문화의 모든 것을 보여주는 장류박물관이 있다. 전통고추장민속마을 앞에 있는 장류박물관의 입구에 들어서면 관람객을 가장 먼저 반겨주는 고추장 할머니 로봇이 순창 고추장의 내력을 들려준다. 전시실을 둘러보면 다양한 고추장의 종류와 고추장, 된장의 역사 그리고 만들어지는 과정 등을 한눈에 알 수 있다. 장류 박물관은 직접 보고 체험하는 공간도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다. 절구통에 콩을 넣고 찧어 볼 수도 있고, 현미경을 통해 발효 과정을 관찰할 수도 있으며, 메주발효체험기에서 메주가 숙성되는 가장 좋은 온도와 습도를 직접 체험해 볼 수도 있다. 대형 스크린을 통해 만화영화로 만들어진 고추장 이야기도 볼 수 있으며, 작지만 어린이 놀이공간까지 갖추고 있는 등 어린이들이 만족할 수 있는 다양한 볼거리들이 준비되어 있다. 야외광장에는 장독대, 연자방아와 백제시대 고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