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7Km 2024-07-18
전라남도 화순군 백아면 백아로 1951-65
숲속의 베리팜은 화순군에 있는 청정지역 북면에 있다. 2017년 4월 개장하였으며 48,000㎡의 넓은 면적을 자랑한다. 이곳은 어린이들이 좋아할 만한 내부 시설과 프로그램이 가득한 곳이다. 캠핑장 내부에는 1,700평 규모의 잔디광장이 있어 아이들이 뛰어놀기 좋다. 잔디광장 외에도 다양한 놀이 시설이 있는데 통나무 놀이터가 있어 가볍게 놀기 좋으며 미니 동물원에서는 아이들이 직접 동물들에 먹이를 주는 체험을 할 수 있다. 또한, 캠핑장 숲속 둘레길이 있어 등산 코스로도, 산책 코스로도 좋다. 이곳의 가장 큰 장점은 블루베리 체험농장이 바로 옆에 있어서 수확체험을 해볼 수 있다는 점이다. 친환경 무농약 블루베리 농장에서 계절별로 블루베리 심기 및 수확, 무농약 블루베리를 맛볼 수 있다. 한편, 주변 관광지로는 백아산 구름다리, 화순적벽, 금호리조트 아쿠아나, 담양 소쇄원이 있다.
17.7Km 2024-05-27
광주광역시 북구 설죽로 477
남도향토음식박물관은 남도의 맛과 남도인의 숨결이 베인 전통 및 지역의 향토음식을 전승 보전하기 위해 개관하였다. 남도의 음식문화를 식자재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는 [남도향토음식전시실]과 광주전통음식 10선과 광주대표음식 7가지를 음식모형으로 소개하고 있는 [광주향토음식전실]이 있다. 조리실로는 향토음식체험실과 공유부엌이 있으며, 자라나는 미래세대인 유아 및 유치원생의 전용 공간인 어린이 쿠킹 클래스와 어린이음식문화체험실을 갖추고 있다. 또한 지역 예술인 및 단체의 작품활동 공간인 기획전시실, 음식을 주제로 한 식문화 프로그램실, 식문화 교양도서가 비치된 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다.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남도전통음식 상설강좌와 어린이, 성인, 주말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전통음식체험프로그램, 광주계절한식한상차림과정과 광주대표음식푸드스타일링과정, 국내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광주대표음식상설체험 프로그램이 있다. 조리실습과정은 광주광역시 지정 무형문화재 제17호 남도의례음식장과 그 이수자, 전수자 선생님들이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지역민의 인문교양 향유와 여가문화 활성화를 위해 음식인문학 강좌, 식문화교육프로그램을 연중 운영하고 있다. 박물관 건물은 음식박물관이라는 테마에 어울리게 떡모양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다식판의 길쭉한 사각형 모양과 광주의 상징인 무등산 입석대의 모습으로 디자인되었다. 또한, 오방색 (청색, 백색, 적색, 흑색, 황색)으로 건물 벽면을 장식하였으며, 오방색은 방위, 계절, 장기, 맛, 감정, 사상 등을 의미하고 있다. 오방색과 다식판, 무등산 입석대의 조화로운 모습은 전통과 현대의 방식이 잘 조화된 건축물이다.
17.8Km 2024-05-29
전라남도 나주시 금천면 촌곡길 66
0507-1406-7705
전통방식으로 고급 천연 자연재료로 지어진 한옥이다. 동향의 따뜻한 분위기이며 넓은 마당과 구들장, 누마루가 있다. 봄에는 배꽃이 바다처럼 펼쳐지는곳으로 배꽃길에 위치하고 있다.
17.8Km 2024-11-27
전라남도 나주시 금천면 촌곡길 66
배밭이 펼쳐진 나주의 조용한 마을, 봄이면 배꽃 향기가 가득한 곳에 이화당이 있습니다. 종이로 장판을 만들고 황토로 벽을 쌓은, 자연의 재료로 지어진 한옥이에요. 동시에 문과 창문, 구조와 공간은 현대적인 모습을 갖추었습니다. 덕분에 머무르는 동안 건강함과 편안함을 함께 느낄 수 있어요.
18.0Km 2025-01-16
광주광역시 북구 삼각월산길 2-1
062-575-3320
용전식육회관은 광주광역시 북구 삼각동에 위치한 한우전문점이다. 일곡동과 삼각동 사이에 위치하였고 일곡동 아파트 단지 인근에 위치하여 주민들이 방문하기 좋은 위치에 있다. 전용 농장에서 공급받은 한우를 제공하여 신선한 고기를 맛볼 수 있고 식사류로 생고기 비빔밥이 인기가 좋다. 최근에는 게장 요리를 포장 판매하고 있다.
18.0Km 2025-03-19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유마로 603
유마사는 시원 계곡과 울창한 수림에 둘러싸여 있다. 유마사는 당나라에서 건너온 유마운과 그의 딸 보안이 창건했다. 유마사의 단풍과 해련부도 주변의 풍광은 특히 가을에 아름답다. 해련부도는 고려 초기 부도의 전형적인 모습을 담고 있다. 중석 받침의 복련은 각각의 모서리마다 귀꽃을 조각하여 장식하고 있다.
18.1Km 2025-03-26
광주광역시 북구 동림동 130-15
광주광역시 북구 동림동 푸른 마을 옆에 있는 산동교 친수공원은 광주의 관문에 해당하는 곳으로, 구 산동교 주변 매립 폐기물 처리 후 고수부지 내 주민들의 여가 및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조성했다. 310,000㎡ 부지에 4.6㎞에 이르는 자전거도로와 유채꽃 단지, 코스모스길, 억새군락지, 체력단련장, 게이트볼장, 관목원, 자전거 교육장, 휴게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취사 및 야영은 금지하고 있다. 이곳은 봄이면 유채꽃이, 가을이면 코스모스와 억새가 시민들을 유혹하고, 여름에는 푸르른 잔디밭이 쉴 공간을 넉넉히 제공해 준다. 또한, 쭉 뻗은 영산강 자전거길이 바로 옆에 자리하고 있으며 자전거와 킥보드 대여점도 있다. 가족끼리 오손도손 모여 앉아 정성껏 준비해 온 음식을 먹고 자전거를 타거나 체력단련을 하며 도심 속 ‘쉼표’를 찍을 수 있는 소중한 공간이다.
18.1Km 2025-01-13
광주광역시 북구 송해로 77
062-574-2354
냉면에 사용하는 가시오갈피는 인삼과 같은 두릅나무와 식물로 약리효과와 효능이 뛰어난 목본식물의 으뜸이다. 잎은 산삼과 거의 쏙 닮았으며, 산삼은 초본식물(풀)이고, 가시오갈피는 목본식물(나무)이라는 것만이 다르다고 하여 ‘산삼 나무’라 불린다. 가시오갈피와 칡이 들어간 냉면과 매운 냉면이 유명하다.
18.1Km 2024-01-29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등광리
개천사 비자나무숲은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에 있는 비자나무 자생지이며, 비자나무숲을 개천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과거 이곳 사찰 주변에 조성했던 비자나무가 확산한 숲으로 화순 개천산과 천태산 개천사 주변에서 자생하고 있다. 비교적 넓게 분포하며, 생육상태 또한 양호한 비자나무 군락이다. 이 지역에는 수령 300년, 가슴 높이 줄기 둘레 2m 이상 되는 비자나무가 약 300주 정도 있는데, 특히 개천사 북쪽에 있는 한 그루는 수령 400년 정도로 추정되는 오래된 나무이다. 예로부터 비자나무는 귀하게 여겨져서 민가에서 많이 심었는데 열매는 구충제로 쓰거나 기름을 짜서 식용유, 등유, 도료 등으로 이용하였고, 목재는 건축재, 조선재, 가구재나 바둑판 등 여러모로 유용하게 사용하였다. 개천사 비자나무숲은 분포 면적, 분포 본수, 생육상태 등이 매우 양호한 군락으로, 학술 가치가 크며, 생장이 느린 비자나무로서는 규모와 발달 정도가 우수한 지역이다. 탐방로가 잘 정비되어 있으며 평탄한 산책로와 숲길 그리고 조금은 숨차 오르는 오르막길이 함께 있어 등산화를 신고 걸어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시간과 함께한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여행지이다.
18.1Km 2022-04-07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도로 257-1
이공은 '이로운 공간'의 줄임말이다. 지구와 나에게 이로운 공간을 만들겠다는 의미다. 그 이름답게 광주 최초로 텀블러 대여 시스템을 도입한 이곳은 친환경 카페이자 제로웨이스트숍, 그리고 비건 식당을 겸한다. 매장 내에서는 다회용 컵과 스테인리스 및 유리 빨대를 사용하고, 포장 시에는 도서관에서 책을 빌리듯 텀블러를 대여해준다. 페트병 뚜껑, 신발 끈, 유리병, 우유 팩 회수 등 적극적인 환경운동도 펼친다. 이곳에 모인 페트병 뚜껑은 치약 튜브로, 작은 실리콘 제품들은 스테인리스 도시락의 밴드로 재사용 하는 등 버려지는 쓰레기를 줄이는 데 동참하고 있다. 또 세제 리필 스테이션을 운영해 세탁세제와 주방세제, 섬유유연제 등을 필요한 만큼만 소분하여 구매할 수 있다. 금요일과 토요일엔 지역 농산물을 이용한 비건 메뉴도 선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