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Km 2025-05-29
경기도 시흥시 정왕대로233번길 19-1 (정왕동)
청년스테이션은 주민 의견수렴 공고를 통해 만들어진 이름으로 청년들이 주도하는 자치, 자생, 자립을 위한 플랫폼이자 청년센터의 역할을 하는 공간이다. 청년스테이션의 상징 마크는 서해선을 형상화한 이미지로 만들어졌는데, 역이라는 의미는 멈췄다가 다시 출발하는 장소이기도 하면서 청년들이 쉬고 교육을 할 수 있는 장소의 역할을 하는 공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청년스테이션은 크게 세 가지 공간으로 나뉘는데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업무를 볼 수 있는 코리빙랩, 공유주방과 강의실을 갖춘 소담키친, 세미나 공간으로 오픈키친까지 갖춘 청년활력공간이다.
9.6Km 2024-10-18
인천광역시 남동구 주안로 269
032-424-3000
수림공원가든은 남동구 간석동에 있는 복합 음식점이다. 1984년부터 수림공원가든에서 갈비 등 한식메뉴 중심으로 30년 이상 운영하다보니 대를 이어 찾는 사람들이 많다. 현재는 총 3개층에서 다양한 음식을 취향대로 고를 수 있다. 1층은 커피와 음료를 먹을 수 있는 베이커리 카페이고 실외에도 테이블이 구비되어 있다. 2, 3층 음식점에서 식사를 하면 커피를 50% 할인을 받을 수 있다. 2층은 수림공원가든으로 장어와 갈비, 소불고기등을 를 먹을 수 있는 한식당이다. 3층은 중식당으로 해물 누룽지탕이 대표음식이고 단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코스 요리도 있다. 한식당, 중식당 모두 룸이 구비되어 있어 가족식사뿐 아니라 단체식사 장소로도 좋다.
9.6Km 2025-03-15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
부자해물칼국수는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에 있는 한식당이다. 칼국수 메뉴, 해물 메뉴, 곁들임 메뉴를 판매하고 있다. 대표 메뉴는 해물 칼국수와 왕새우튀김이다. 주문 시 에피타이저로 보리밥이 제공된다. 칼국수를 자리에서 끓여 먹는 방식이다. 바지락, 가리비 등이 들어가 시원한 국물이 특징이다. 바지락, 해물, 면 사리 등 칼국수 추가 메뉴도 있다. 단, 주말과 공휴일에는 면 사리 추가를 할 수 없다. 칼국수 포장은 2인분 이상부터 할 수 있으며, 비 조리 상태로 포장된다. 주차장이 있다. 지하철 수인분당선 월곶역 1번 출구 인근에 있다.
9.6Km 2025-08-14
인천광역시 중구 신포로23번길 101
인천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대불호텔전시관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호텔인 대불호텔의 역사를 소개하는 전시관이다. 대불호텔은 개항 후 인천항으로 들어오는 외국인들이 서울로 가기 전 묵었던 서양식 호텔로 당시 인기가 높았으나 경인선 개통과 러일 전쟁 후 서양인의 방문이 뜸해지자 점차 경영난으로 쇠락하여 문을 닫았다. 이후 중국인이 건물을 인수해 ‘중화루’라는 중국요리집으로 운영되다 철거된 후 2018년 전시관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 제 1관인 대불호텔전시관에서는 우리나라 최초의 호텔인 대불호텔의 외관 및 과거 번창했던 대불호텔의 모습부터 쇠락의 과정까지 역사적 배경을 소개하고 있으며 대불호텔 터에서 발견된 유구와 일제강점기 개항장 일대에 있었던 호텔 및 여관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전시를 운영하고 있다. 제 2관인 중구생활사전시관은 인천 중구의 시작을(1968년) 기준으로 1960~70년대 인천 중구의 변천과 생활사를 다양한 콘텐츠로 관람할 수 있다. (출처 : 인천중구문화재단 홈페이지)
9.6Km 2025-07-17
인천광역시 동구 화도진로 31 (송현동)
미림극장은 1957년 11월 인천 동구 송현동에 천막을 세워 무성영화를 상영한 것을 시작으로 이후 인천을 대표하는 영화관으로 오랫동안 시민들의 사랑을 한 몸에 받았던 유서 깊은 문화공간이다.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공세에 밀려 2004년 7월 29일 영화 <투 가이즈> 상영을 마지막으로 폐관해 잠시 시민들의 곁을 떠나 있다가 9년 만인 2013년 10월 추억극장 미림으로 새롭게 단장하여 재개관했다. 2013년 10월에 출범한 인천 최초이자 유일의 실버전용관인 추억극장 미림은 지역사회의 성원에 힘입어 인천의 새로운 명소이자 실버 중심의 가족문화공간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예술영화 전용상영관으로 국내외 숨겨진 독립 예술영화를 꾸준히 소개하고 있으며, 지역에서 개최하는 영화제와 협력하는 등 영화문화진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동인천역 4번 출구와 가까우며 대중교통을 이용해 방문하기 쉽다.
9.6Km 2025-03-18
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동3가
무지개처럼 생긴 문이라는 뜻의 홍예문(虹霓門)은 철도 건설을 담당하고 있던 일본 공병대가 1906년 착공하여 1908년에 준공하였다. 응봉산 산허리를 잘라 높이 약 13m, 폭 약 7m의 화강암 석축을 쌓고 터널처럼 만든 석문(石門)으로, 위치는 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동 3가 20이며, 면적은 1,952.6㎡이다. 건설 당시 인천 중앙동과 관동 등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의 수가 급격히 늘자 만석동 방면으로 자신들의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이 홍예문(을 뚫었는데 일본인들은 혈문(穴門)이라 불렀다. 공사를 진행할 때 예기치 못한 거대한 암석을 만나 공사 기간이 오래 걸렸다 한다. 당시 일본의 토목공법을 알 수 있는 문화유산으로서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홍예문을 통과하면 폭이 좁은 2차선 도로가 지나며, 홍예문 위쪽 길에 서면 인천항이 한눈에 내려다 보인다. (출처 : 국가유산청)
9.6Km 2025-05-30
경기도 시흥시 중심상가1길 25 (정왕동)
리브라이프호텔은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비즈니스호텔이다. 시흥시 중심에 있으며 특히, 시화공단과 반월공단에서 10분 거리, 인천공항에서 25분 거리에 있다. 이곳은 특히 전망이 좋으며, 최첨단 시설과 격조 높은 인테리어를 갖추고 있다. 비즈니스 관계로 방문하는 내·외국인 고객에게 불편함이 없도록 영어, 중국어, 일본어가 가능한 직원들이 상주하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차장, 식음료장, 피트니스, 테라스 등의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인근에 오이도, 소래포구, 시화 나래 휴게소 달 전망대가 있어 연계 관광에 수월하다.
9.6Km 2025-06-26
경기도 시흥시 중심상가로 202-10
031-432-8660
세븐헤르츠 호텔은 경기 남부의 명소 시화 신도시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다. 시흥 종합버스터미널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어 비즈니스 또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여행객들에게 인기가 좋으며 넓은 객실은 여행객들에게 편안한 휴식처를 제공하고 여러 가지 색상의 돋보이는 인테리어는 감성을 자극하는 로맨틱한 아지트를 연상시킨다. 그리고 객실 안의 다양한 그림 작품을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또한 주변의 다양한 식당가에서의 맛집을 찾아보는 것도 재미를 더해 줄 것이며 관광지로는 오이도, 소래포구, 시화호 해상공원 등이 있다.
9.6Km 2025-07-22
인천광역시 중구 신포로27번길 96-2
카페 팟알은 19세기 말에 지어진 건물로, 개항기 때 어느 하역회사의 사무소 겸 주택이었다. 카페 주인이 2011년 건물을 매입해 원형에 가깝게 복원공사를 한 뒤 2012년 여름에 오픈하였다. 팟알을 찾는 손님들이 이 공간에서 역사의 흔적을 느꼈으면 하는 주인의 바람으로 현재는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주 재료인 팥은 100% 국내산 (충청도 당진, 경상도 문경)을 사용한다. 잣과 검은깨, 계핏가루를 살짝 뿌려 인절미와 함께 먹는 단팥죽, 팥과 아몬드가 전부이지만 직접 삶아 뭉개지지 않고 살아 있는 팥알과 적당한 당도가 인기의 비결인 팥빙수가 대표 메뉴이다.
9.6Km 2025-09-01
인천광역시 중구 제물량로 238
한중문화관은 차이나타운에 자리한 한국과 중국의 역사, 문화가 공존하는 인천 차이나타운의 특성을 잘 담아내는 공간이다. 중국풍 양식으로 지은 건축물을 중심으로 ‘인화문’이라는 패루(예전에 중국에서, 큰 거리에 길을 가로질러 세우던 시설물이나 무덤, 공원 따위의 어귀에 세우던 문), 중국에서 기증한 왕희지 석상, 중국식 정자 등이 이국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2005년 개관한 한중문화관은 지하 1층에서 지상 4층 규모로 1층에 갤러리, 2층에 한중문화전시관, 3층에 우호도시홍보관, 4층에 공연장이 있으며 중국 복식, 중국 음식 등에 대한 전시와 함께 우리에게 친숙한 주윤발, 이소룡 등 배우들의 미니어처도 진열되어 있고, 중국 의상 체험과 다도 체험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2015년에는 별관인 인천화교역사관을 개관해 볼거리를 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