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아일랜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포스트아일랜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포스트아일랜드

포스트아일랜드

14.8Km    2024-07-31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칠성로길 5

포스트 아일랜드는 제주의 대표 쇼핑상권인 칠성로에 자리하고 있다. 핸드메이드 감성 소품 샵으로 제주도 내 작가들이 만든 수공예 작품을 주로 판매한다. 뜨개 가방, 손수건, 티셔츠, 마스크 같은 패브릭 제품과 비누, 향초, 모빌 등의 소품, 마스킹테이프, 지류 등 문구류 등 제주 기념품을 판매한다. 페트병으로 만든 기능성 패브릭으로 만든 에코백 등 친환경 제품도 있으며 이따금 원데이클래스나 협업 작가들의 플리마켓도 진행한다. 1회용 페트병 줄이기 캠페인 '지구별 약수터'로 누구나 개인 컵, 텀블러를 가져오면 물을 준다.

윤재커피

윤재커피

14.8Km    2024-07-0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앙로12길 1

윤재커피는 제주시 동문시장 근처에 있다. 제주 원도심의 구옥을 개조하였고 아기자기한 소품과 함께 작은 정원이 있는 카페이다. 제주산 식재료를 이용해 식음료를 만들고, 엄마표 기름떡의 경우 제주 로컬음식인 기름떡을 모티브로 제주산 쑥, 당근, 플레인 세 가지 맛에 전복 조림과 블루베리 잼, 애플망고 잼을 함께 제공한다. 이 밖에 아인슈페너, 흑임자 라테 등도 인기 메뉴이다. 주변 여행지로 제주 원도심, 제주목관아 등이 있다.

라토커피제주

라토커피제주

14.8Km    2024-02-06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광양10길 20

라토커피제주는 제주시청 근처에 있다. 제주 구옥 2층 가정집을 깔끔하게 개조하였고, 주택가에 있어 조용하고, 공간이 넓고, 창문이 커서 개방감이 있다. 인테리어는 기둥 사이 가벽을 뚫거나 창틀 벽돌의 부서진 부분을 그대로 활용하여 빈티지한 느낌이 있다. 대표 메뉴는 넛츠끄레마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커피와 음료, 디저트 메뉴를 맛볼 수 있다.

제주관덕정분식

제주관덕정분식

14.8Km    2024-07-01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관덕로8길 7-9

관덕정 분식은 제주도 원도심에 위치한 로컬 분식집이다. 제주동문시장 바로 근처, 제주공항에서 차로 10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메인메뉴인 제주놈삐떡볶이는 동문시장에서 국내산 쌀로 뽑아낸 가래떡과 제주의 겨울을 이겨낸 월동무의 달콤함을 가득 품은 소스, 놈삐(무) 튀김을 곁들여 먹는 관덕정의 시그니처 떡볶이다. 또 다른 인기메뉴는 관덕정 단청김밥으로, 다채로운 채소와 어묵조림으로 관덕정 단청의 오색을 표현한 매력적인 김밥이다. 이외에도 한치튀김, 모닥튀김, 제주감자크림떡볶이 등 이곳에서만 먹을 수 있는 색다른 분식 메뉴들이 준비되어 있다. 또한, 패밀리 분식을 지향하는 관덕정 분식에는 아이들을 위한 메뉴, 의자, 식기가 준비되어 있고, 넓은 테이블 간격으로 휠체어, 유모차 이동에 불편함이 없도록 공간을 배치했다.

셀덴

셀덴

14.8Km    2024-03-2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앙로 60 제주중앙지하상가 249호

-

금능포구

금능포구

14.9Km    2024-08-16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금능리

‘금능포구’는 활기찬 해수욕장과는 또 다른 분위기로 한적하고 평화로운 바다의 모습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작은 선박들이 드나드는 작은 포구로 아담한 느낌이 있다. 어선들이 정박해 있는 모습이 마치 그림처럼 아름답다. 이곳은 2022년도 tvN 방영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 드라마 속 많은 장면의 배경이 된 곳이며 해녀들의 대화 장소였던 정자가 있는 공터도 드라마를 본 이들에겐 특별하다. 박정준(김우빈)이 버스를 주차해 두고 이영옥(한지민)과 오붓한 시간을 보내곤 했던 장소이기 때문이다. 그 뒤로 보이는 방파제로 들어서면 귀여운 벽화가 그려져 있고 그 끝에 하얀 등대가 있다. 그 주변에는 많은 돌탑들이 쌓여있는데 하얀 등대와 돌탑을 배경으로 멋진 풍경 사진을 찍으며 추억을 남기기 좋은 장소이다.

쌤소나이트 제주칠성

쌤소나이트 제주칠성

14.9Km    2024-03-2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앙로 67, 1호(이도일동)

-

로가디스

로가디스

14.9Km    2024-03-2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칠성로길10

-

골목식당

골목식당

14.9Km    2024-01-31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앙로 63-9

골목식당은 제주 동문재래시장 중앙로 쪽 끝 동문 골목시장 안에 있다. 제주 로컬푸드인 꿩 메밀 칼국수를 만드는 곳으로 흔치 않은 메뉴의 도민 맛집이다. 50년 이상 이곳에서 장사하고 있으며 주인 할머니가 온종일 꿩고기와 꿩 뼈를 우려 육수를 내고, 손반죽해 메밀국수를 만든다. 밀가루 국수와는 달리 메밀국수는 툭툭 끊기기 때문에 숟가락으로 퍼먹어야 하며 육수와 메밀이 어우러져 걸쭉하고 구수한 맛이 난다.

오현단

오현단

14.9Km    2024-12-12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현길 61

조선시대에 이 곳 제주도에 유배되거나 방어사로 부임하여 이 지방의 교학 발전에 공헌한 다섯 분(5현)을 기리고 있는 제단으로, 이들의 위패를 모시던 귤림서원의 옛 터에 마련되어 있다. 5현은 중종 15년(1520)에 유배된 충암 김정 선생, 중종 29년(1534)에 제주목사로 부임해 온 규암 송인수선생, 선조 34(1601)에 안무사로 왔던 청음 김상헌선생, 광해군 6년(1614)에 유배된 동계 정온 선생, 숙종 15년(1689)에 유배된 우암 송시열 선생 등 다섯 분이다. 고종 29년(1892) 제주사람 김의정이 중심이 되어 비를 세우고 제단을 쌓아놓았는데, 원래는 선조 11년(1578) 임진이 목사로 있을 때, 판관 조인준이 가락천 동쪽에 충암 김정을 모시기 위한 충암묘를 지은 것이 그 시초이다. 현종 6년(1665) 판관 최진남이 이 묘를 장수당 남쪽인 지금의 자리로 옮겨놓은 뒤, 숙종 8년(1682) 예조정랑 안건지를 제주도에 파견하여 ‘귤림서원’이라는 현판을 하사하여 김정 선생·송인수 선생·김상헌 선생·정온 선생 등 네 분의 위패를 모시도록 하였다. 숙종 21년(1695) 송시열 선생도 함께 모시면서 5현을 배향하게 되었으나, 고종 8년(1871) 서원 철폐령이 내렸을 때 서원이 헐리게 되어, 그 터에 이 제단을 설치하게 되었다. 단내에 있는 5현의 자취로는 철종 7년(1856) 송시열 선생의 글씨로 하여 판관 홍경섭이 바위에 새긴 ‘증주벽립’이라는 글씨와, 김정 선생과 송시열 선생의 ‘적려유허비’가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