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0
전라북도 장수군 계남면 침곡로 11-26
오미자는 시잔드린 성분을 함유해 피부를 생기 있게 만 들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준다. 장수 오미자주는 오 미자를 착즙하고 발효한 뒤에 숙성한 오미자 와인이라 고 할 수 있다. 활성탄 여과로 깨끗하게 정제하고 블랜딩 해 오미자 향이 진하게 난다. 맑고 고운 색상 덕분에 우 선 눈이 즐겁다. 처음부터 오미자의 단맛이 부담스럽지 않게 다가와 알코올 향을 덮어주어 술이 약한 사람도 맛 있게 즐길 수 있는 과실주다.
2024-03-20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금봉로 365
제천의 명물 ‘솔티맥주’를 생산하는 양조장 인 ‘뱅크크릭브루잉’은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 읍 장평리에 있다. 이 마을의 옛 지명은 ‘소나 무가 많은 언덕’이라는 뜻의 ‘솔티’다. 솔티맥 주는 벨기에 방식으로 만든다. 풍성한 초콜 릿, 과실, 오렌지 향 같은 복합적인 풍미를 느 낄 수 있다. 벨기에 맥주는 대부분 두 번 발효 시킨 이양주다. 오랜 시간 몇 단계의 발효 과 정을 거치기 때문에 제품이 완성되기까지 보 통 6~7주 정도 걸린다.
2024-03-20
대전시 유성구 어은로 42번길 25
대전의 전통주는 젊은 감성이 가득하다. 고 유의 양조법을 바탕으로 다양한 시도가 이뤄 지고 있고 라벨, 병 디자인에서도 과거의 전 통주와 결이 다르다. 전
2024-03-20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소야정길 177
옛간’은 3대에 걸쳐 60년간 참기름, 곡물 전문 전통 방앗간이다. 고유의 방식으로 진하고 고소한 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참기름을 산다면 꼭 흔들어 먹어야 한다. 참기름은 햇빛이 들지 않는 서늘한 곳에 보관하고, 들기름과 생들기름은 개봉한 후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2024-03-20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삼이로24번길 47-32
남해에서 자란 유기농 유자로 아버지와 아들이 함께 생산하고 있다. 남해 유자빵은 유자 커스터드 크림을 넣었으며, 부드러우면서 끝 맛이 상큼한 것이 특징이다.
2024-03-20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99번길 36
부산에는 어묵 맛집이 참 많다. 그중에서 유명한 어묵집은 ’고래사어묵‘과 ’삼진어묵‘이 꼽힌다. 부산의 어묵은 생선 함량이 높아 쫄깃하면서도 부드러운 맛을 느낄 수 있다. 매장을 방문해 먹고 싶은 어묵을 골라 먹어보길 추천한다. 마음에 드는 어묵은 선물용으로 골라 포장하면 된다.
2024-03-20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창룡대로 18(
수원화성을 기념하기 위해 수원화성의 모양을 본뜬 ‘수원화성빵'을 만들었다. 일반 밀가루가 아닌 타피오카 가루를 사용해 칼로리가 낮아서 다이어트에 도움을 주고 일반 빵보다 쫄깃한 식감이 돋보인다.
2024-03-20
경상북도 김천시 대학로 94-1(철없는자두)
김천 자두는 과육이 부드럽고 맛이 좋다. 이 맛좋은 김천 자두로 디저트를 만들었으니 그 맛은 이미 보장된 셈이다. ‘철없는 자두’는 김천시 최초 자두 카페로 수제 자두청으로 만든 자두 음료와 ‘철없는 자두떡’, ‘자두 샌드’를 판매한다. 김호중 소리길에 위치하는데 자두청 음료와 함께 여행해보길 추천한다.
2024-03-20
전라남도 순천시 이수로 97
순천에서 재배한 청매실과 술의 풍미를 높이는 미네랄 성분이 풍부한 천연 암반수, 100% 국내산 햅쌀로 고두밥을 지어 전통 발효 과정을 거쳐서 만들었다. 매실의 달콤하고 상큼한 맛에 부드러운 곡물 향의 밸런스가 훌륭하다.
2024-03-20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미리실길 125
진천 ‘미잠미과’는 가공용 쌀 ‘팔방미’를 활용해 쌀빵, 쌀쿠키, 쌀국수 등 쌀 가공품 130여 가지를 개발해 소비자에게 공급해오고 있다. 쌀소금빵, 쌀소보로, 현미식빵, 쌀카스텔라, 쌀브라우니, 쌀눈쌀 식빵, 쌀베이글 어니언, 찰떡파이 등이 베스트셀러다. 인절미 크림빵은 콩가루가 덮인 쌀빵 안에 인절미와 팥소, 생크림이 들어 있는 풍성한 빵. 하나만 시켜서 둘이 먹어도 모자라지 않는 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