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한라산 정보를 소개합니다.

  • 한라산
  • 한라산
  • 한라산
  • 한라산
  • 한라산
  • 한라산
  • 한라산
  • 한라산

설명

한라산은 능히 은하수를 잡아당길 만큼 높은 산이라는 뜻을 가졌다. 예부터 신선들이 산다고 해서 영주산(瀛州山)이라 불리기도 했고 금강산(金剛山), 지리산(智異山)과 더불어 우리나라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여겨져 왔다. 또 다양한 식생(植生) 분포를 이루어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동·식물의 보고(寶庫)로써 1966년 10월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한편 신생대 4기의 젊은 화산섬인 제주도의 중심부에 위치한 한라산은 지금으로부터 2만 5천 년 전까지 화산 분화 활동을 하였으며, 한라산 주변에는 기생 화산인 오름이 분포되어 있어 특이한 경관을 창출하고 있다. 한라산이 품고 있는 비경으로는 눈 덮인 백록담, 왕관능의 위엄, 계곡 깊숙이 숨겨진 폭포들, 설문대 할머니와 오백장군의 전설이 깃든 영실기암 등이 있으며 1970년 3월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한라산은 북태평양의 고도(孤島)에 솟아있는 지리적 요인과 해발고도에 따른 영향으로 온대에서 한대 기후대까지 식물의 수직분포를 보이고 있고, 다양한 종의 식물과 동물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홈페이지

http://www.jeju.go.kr/hallasan


이용안내

세계 문화유산

유모차 대여 : 없음

신용카드 가능 : 없음

문의 및 안내 : 064-713-9950

주차시설 : 가능

쉬는날 : 연중무휴
※ 기상악화 시 통제되므로 방문 시 전화문의 요망

이용시간 : ※ 코스별 상이하므로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참조 및 전화문의 요망


상세정보

야간산행 제한안내
일몰 후부터 일출 전 2시간까지(일몰 2시간 전 입산금지)
※ 한라산 국립공원에서는 당일 등산을 원칙으로 하며, 일몰 전에 하산이 완료될 수 있도록 계절별로 입산시간을 정해 통제하고 있다.

입산통제 기간
[어리목탐방로] 하절기(5월~6월, 7월~8월) 통제소 15:00부터 입산통제, 윗세오름통제소 14:00부터 돈내코등산 통제

[어리목탐방로] 동절기(1~2월, 11~12월) 입산시간 06::00부터, 어리목 탐방로 입구 12:00부터 통제, 윗세오름 안내소 13:00부터 돈내코탐방통제/ 윗세오름 안내고 15:00하산

[영실탐방로] 하절기(5월~6월, 7월~8월) 통제소 15:00부터 입산통제, 윗세오름통제소 14:00부터 돈내코등산 통제

[영실탐방로] 동절기(1~2월, 11~12월) 입산시간 06::00부터, 영실탐방로 입구 12:00부터 입산통제, 윗세오름안내소 13:00부터 돈내코탐방톨제/ 윗세오름안내소 15:00하산

[성판악탐방로] 하절기(5월~6월, 7월~8월) 탐방로 입구 13:00부터 입산통제, 진달래밭통제소 13:00부터 정상등반 통제

[성판악탐방로] 동절기(1~2월, 11~12월) 입산시간 06::00부터, 성판악탐방로 입구 안내소 12:00부터 입산통제, 진달래밭안내소 12:00부터 정상탐방통제, 정상 (백록담) 13:30 하산

[관음사탐방로] 하절기(5월~6월, 7월~8월) 탐방로 입구 13:00부터 입산통제, 삼각봉대피소 13:00부터 정상등반 통제

[관음사탐방로] 동절기(1~2월, 11~12월) 입산시간 06::00부터, 탐방로 입구 안내소 12:00부터 입산통제, 삼각봉 안내소 12:00부터 정상탐방통제, 정상 (백록담) 13:30 하산

[돈내코 탐방로] 하절기(5월~6월, 7월~8월) 안내소 11:00부터 입산통제
[돈내코 탐방로] 동절기(1~2월, 11~12월) 입산시간 06::00부터, 탐방로 입구 안내소 10:00부터 입산통제
[어승생악 탐방로] 하절기(5월~6월, 7월~8월) 탐방로 입구 18:00부터 입산통제
[어승생악 탐방로] 동절기(1~2월, 11~12월) 입산시간 06::00부터, 탐방로 입구 안내소 16:00부터 입산통제
[석굴암탐방로] 동절기(1~2월, 11~12월) 입산시간 06::00부터, 탐방로 입구 안내소 16:00부터 입산통제

등산로
* 등산안내

한라산은 화산분출로 생성된 산이어서 육지 산과는 다른 독특한 지형을 가지고 있다. 한반도의 대부분의 산들이 능선과 골짜기로 이루어진 반면 한라산은 '양변의 기울기가 다소 완만한 삼각형 모양의 단면(순상화산)을 이룬다. 이 경사면을 따라 4개의 등산로가 있는데, 동쪽의 성판악 코스와 서쪽의 영실, 어리목 코스, 북쪽의 관음사 코스가 있다. 남쪽의 돈내코 코스는 자연휴식년 구간으로 지정되어 현재는 통제되고 있다.

한라산은 등산로가 10km 이내로 거리가 짧아, 정상까지 당일 등·하산이 가능하다. 또한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어 길을 잃거나 조난 당할 우려는 적다. 그러나 기상변화가 심하고 바람이 세어서, 장비없이 무작정 산행에 나섰다가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다. 관음사 지구 야영장을 제외하고 모든 등산로에서는 취사와 야영이 금지되어 있다.

한라산 정상 동능이 개방되어서 성판악, 관음사 코스로 정상까지 등산할 수 있다. 어리목과 영실코스로는 1700 고지 윗세오름 대피소까지만 등산 할 수 있으며, 윗세오름 대피소에서 정상까지는 자연휴식년제 및 등산로 붕괴로 등산을 할 수 없다. 1988년부터 한라산에서는 '자기쓰레기 되가져오기 운동'을 전개하여서 등산객들도 깨끗한 한라산 만들기에 동참하고 있다. 그리고 당일 등산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계절별로 일몰시간을 기준으로 입산통제가 이루어지므로 미리 입산 시간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 어리목탐방로 (윗세오름 2시간, 남벽분기점 3시간) 6.8Km
어리목 탐방안내소 - 사제비동산 - 만세동산 - 윗세오름 - 남벽분기점

* 영실탐방로 (윗세오름 1시간 30분, 남벽분기점 2시간30분) 5.8Km
영실휴게소 - 병풍바위 - 윗세오름 - 남벽분기점

* 관음사탐방로 (삼각봉 3시간 20분, 정상 5시간) 8.7Km
관음사지구 야영장 - 탐라계곡 - 개미등 - 삼각봉대피소 - 정상(동능)

* 성판악탐방로 (진달래밭 3시간, 정상 4시간 30분) 9.6Km
성판악 탐방안내소 - 속밭 대피소 - 사라악오름입구 - 진달래밭 - 정상(동능)

* 돈내코탐방로 (남벽분기점 3시간 30분) 7km
돈내코 탐방안내소 - 평궤대피소 - 남벽분기점

* 어승생악 (1.3km, 편도 30분)
어리목 탐방안내소 - 어승생악

* 석굴암탐방로 1.5km
충혼묘지 주차장 - 석굴암

화장실
있음

주차요금
- 이륜차 500원
- 경형승용차 1,000원
- 승용차 1,800원
- 소형버스 3,000원
- 중대형버스 3,700원
※ 자세한 사항은 전화문의 요망

입 장 료
무료

위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토평동 산15-1

식장산 정상쉼터

식장산 정상쉼터

2025-05-12

대전광역시 동구 낭월동

식장산 정상쉼터는 대전시민에게 60년 만에 개방된 명소로, 해발 598m 정상에서 360도 파노라마 전경을 감상할 수 있는 대전의 관광지이다. 차량으로 정상까지 접근이 가능하여 누구나 편하게 방문할 수 있으며, 대전 도심과 대청호를 아우르는 웅장한 풍경을 한눈에 담을 수 있다. 사계절 내내 각기 다른 매력을 선사하는 식장산의 봄의 신록, 여름의 청량함, 가을 단풍, 겨울 설경 등 다양한 자연의 변화를 체험할 수 있다. 24시간 운영되는 쉼터 공간에서는 아침에는 황홀한 일출을, 저녁에는 낭만적인 일몰과 야경 속 시티뷰를 즐길 수 있다. 쉼터 내 무인카페와 간단한 먹거리를 제공하는 라면 판매 코너도 마련되어 있어 방문객에게 편안한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식장산 정상쉼터는 자연과 도시의 경계를 넘나드는 힐링 장소로, 대전을 찾는 이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선사한다.

김해 봉황대길(봉리단길)

김해 봉황대길(봉리단길)

2025-05-12

경상남도 김해시 봉황동

젊은이들의 뉴트로 감성이 가득담긴 봉황대길(일명 봉리단길). 수로왕릉 돌담길을 따라 예스러운 오래된 주택가로 들어가면 청년 사업가들이 운영하는 카페 식당 그리고 도자기 및 캔들 등 수공예가게가 골목 사이사이 있다. 최근 MZ세대들 사이에서 각광받는 거리이며, 회현동 주민센터 옆 회현동 벽화골목, 수로왕릉 그리고 김해한옥체험관과 가까우어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변신하고 있는 곳이다.

왕의 골목여행

왕의 골목여행

2025-05-09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남창동

행궁동은 조선 제22대 정조대왕이 실학사상을 바탕으로 백성과 더불어 살고자 건설한 수원화성이 자리 잡고 있는 수원의 역사와 문화유적이 곳곳에 살아 숨 쉬는 마을이다. 행궁동 골목에 남아 있는 역사와 오늘날 행궁동 스토리를 접목한 왕의 골목여행을 통해 마치 조선시대로 타임머신을 타고 시간여행을 떠난 듯 여러분들도 왕이 되어서 행차하여 행궁동의 변천사를 느껴 보기 바란다. 병풍처럼 둘러져 있는 세계유산 수원화성과 함께 전통과 현대의 멋이 어우러진 행궁동 왕의 골목여행은 여러분들에게 마음이 쉬는 ‘休’ 여행이 될 것이다.

철암단풍군락지

철암단풍군락지

2025-04-30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철암동

철암단풍군락지는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철암동 일대에 형성된 아름다운 자연 단풍 군락지이다. 매년 가을이면 이곳은 붉게 물든 단풍으로 가득 차 사진 촬영지 및 산책 명소로 인기를 끌고 있다. 철암역에서 도보로 접근이 가능해 교통이 편리하며, 인근의 철암탄광역사촌과 연계한 관광도 가능하다. 또한, 이곳에서는 며칠간 단풍 축제가 열려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한다. 한적하고 조용한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어 가족 단위나 연인에게도 인기 있는 가을 명소이다.

용당나루 매화공원

용당나루 매화공원

2025-04-30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여차리

용당나루 매화공원은 김해시 상동면 여차리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김해 상동면 여차리 용당나루터 일원에 2019년 조성된 낙동강 수변공원으로, 약 600여 그루의 매화나무가 심어져 있어 해를 거듭할수록 그 아름다음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인기리에 방영중인 SBS Plus, ENA '나는SOLO' 프로그램의 김해시편 오프닝장소로 유명세를 타 피크닉 및 산책명소로 각광받고 있으며, 나는SOLO의 인기에 힘입어 공원 내 버드나무에 족자 포토존을 조성하였다.

화가의 정원산책

화가의 정원산책

2025-04-22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장학길 34

화가의 정원산책은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에 있는 정원이다. 순천에서 가볼만한 민간정원이며, 약 30년 동안 부부가 가꿔온 곳이다. 면적은 약 3,000평 정도로 서양화가 정원주의 작품처럼 세심하게 가꾸어진 안뜰정원과 산책숲길, 경사진 산을 계단식으로 바꾼 정원과 곳곳의 쉼터 등 정원주의 미학적 철학을 관람할 수 있는 곳이다.

물빛소리정원

물빛소리정원

2025-04-22

경상남도 통영시 도산면 도산일주로 1278-57

물빛소리정원은 통영시 도산면에 위치한 정원이다. 꽃과 나무, 자연의 소리가 어우러져 마치 동화 속 한 장면처럼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한다. 잔잔한 호수를 따라 산책로를 걷다보면 형형색색의 꽃들과 푸르른 나무들이 반갑게 맞아주는 곳으로 3면의 바다와 아름다운 경관 속에 자리 잡은 정원이 어우러진 수채화 같은 공간입니다. 해안 산책길을 따라 걸으며 사계절 꽃과 정원을 감상 할 수 있습니다.

서울달

서울달

2025-04-22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68-1 (여의도동)

2024년 서울의 신규 야간관광 콘텐츠 서울달(SEOULDAL)은 여의도 상공을 수직 비행하는 계류식 헬륨가스 기구로, 여의도공원 하늘에서 서울의 멋진 야경을 가장 생생하게 즐길 수 있는 체험시설이다. 서울의 화려한 야경을 조망할 수도 있지만 멀리서 서울 야경을 바라보면 서울달(SEOULDAL)도 멋진 서울 야경의 한 부분이 된다. ※ 실시간 기상상황에 따라 비행 여부 결정(홈페이지 참조)

장암숲늘품길

장암숲늘품길

2025-04-21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

의정부시 ‘장암숲 늘품길’의 경계숲길 장암동 동막골 굴다리 입구부터 아일랜드캐슬을 잇는 작은 길이지만, 지역 주민에겐 ‘나만 아는 봄길’로 불린다. 화려하지 않아도 계절을 놓치지 않는 길, 일상의 품격을 조금씩 더해주는 길이다. 경계숲길을 지나 내부숲길로 이어지는 도심 속 자연과 하늘의 아름다움은 현대인을 위한 시크릿 힐링공간으로 쉼을 찾는 모두에게 도심 속 작은 여행을 선사한다. 도시와 자연이 맞닿는 경계에서 나에게 아주 평범한 보통의 하루를 선사하는 여정을 시작해보자.

삼성 반려견 놀이터

2025-04-18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

음성군 삼성면에 위치한 반려견 놀이터로, 반려견이 목줄 없이 뛰어놀 수 있는 운동장 및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