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Km 2025-01-14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강구대게길 21
054-733-3838
탱탱한 게살이 일품일 대게전문점 대게종가. 이곳은 오랫동안 단골이 끊이지 않는 영덕대게의 명소이다. 큰 몸집에 비해 껍질이 얇아 유명한 영덕대게. 그 얇은 껍질 속 꽉 찬 게살을 입에 한 점 넣으면 영덕대게만의 독특한 향내음과 함께 쫄깃쫄깃 담백한 그 맛이 일품이다. 여러 방송 프로그램에 대게집으로 소개된 바 있으며, 넓고 쾌적한 규모의 식당으로 단체 모임 장소로 적합하다.
18.0Km 2025-03-17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중앙로298번길 13-4
054-242-2712
산촌식당은 경상북도 포항시에 위치한 산채비빔밥, 산채정식 전문 식당으로 강원도 오대산 산나물을 재료로 쓰고 있다. 산채요리 외에도 도토리묵, 감자전, 더덕구이, 생선구이가 있다. 밑반찬으로 매콤 새콤한 더덕무침, 양념꽃게, 버섯, 고사리, 명이나물 등 다양하게 준비되며 부족한 반찬은 셀프바에서 추가로 먹을 수 있다. 이곳의 매장 내부는 크고 좌석 간의 간격이 넓어 편안한 식사가 가능하다.
18.0Km 2025-03-14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새마을로 29
054-247-9521
‘할매식당’은 게장정식으로 유명한 한식당으로 여러 방송 출연을 한 맛집이다. 주인 할머니께서 직접 주방을 맡고 있어 할매식당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쉬는 때가 종종 있고, 재료가 떨어지면 영업을 마치기 때문에 미리 전화로 확인하고 찾는 것이 좋다. 정식을 주문하면 생선구이와 잡채, 생선 전, 생선조림, 생선탕 등의 밑반찬이 나오는데 특히 생선 요리들이 인기 있다.
18.0Km 2024-07-31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중앙로298번길 4-1 (상원동)
0507-1372-0256
포항시 육거리에 위치한 포데로사 게스트하우스는 동해안 최대 어시장인 죽도시장에서 도보 10분 이내 거리에 있고, 송도 솔밭공원과 포항운하도 인접해 있다. 객실은 남성/여성용 각각 4인실과 6인실로 구성되어 있고, 공용으로 거실, 주방, 화장대를 사용할 수 있다. 세탁기와 건조기도 있어 세탁고 가능하다. 무인 라면자판기와 사진인화 기계가 있어 필요시 이용하면 된다. 필요시 꿈틀로의 공방 체험프로그램을 연결해준다.
18.1Km 2024-01-17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대게길 43-1
남은대게는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강구리, 영덕 대게 거리에 있다. 대표 메뉴는 박달대게, 영덕대게, 수입대게 등 대게 종류이고 홍게, 랍스터, 킹크랩, 물회, 연포탕, 해산물 등도 맛볼 수 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할 수 있다. 대게를 시키면 기본 반찬으로 게장, 소라 초회, 해파리냉채, 문어숙회, 꽁치구이, 대게 튀김, 새우튀김, 대게 치즈구이 등 한 상 푸짐하게 나오고 대게찜을 다 먹고 나면 홍게 라면으로 마무리하는 게 보통이다. 남은대게는 영덕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공원해파랑, 오포리해변, 삼사해상공원이 있어 연계 여행에 나서기 수월하다. 반려동물과 함께 이용이 가능한 프라이빗 룸도 보유하고 있다.
18.1Km 2024-05-29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강구대게길 47-1
054-733-4148
죽도산은 영덕군 강구항 대게거리 중간지점의 도로변에 위치한 대게전문점이다. 1층에는 대형수족관이 있어 많은 양의 대게와 활어가 보관되어 있고, 2층은 유리창으로 폭포수처럼 물이 내려와 매우 시원한 느낌이 든다. 대게찜과 자연산활어회가 주메뉴로 담백한 게살을 먹고 난 뒤 내장에 밥을 볶는 볶음밥은 대게매운탕과 함께하면 그 맛이 별미이다. 식당 3층엔 민박시설이 있어 숙박도 가능하다.
18.1Km 2024-01-18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중앙로294번길 10-7
THE 신촌’s 덮죽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여천동에 있다. SBS 예능 프로그램 백종원의 골목식당에 출연한 바 있다. 외관과 인테리어가 깔끔하며,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소라와 돌문어를 넣어 만든 소문덮죽이다. 시금치와 소고기가 어우러진 시소덮죽도 판다. 두 메뉴 모두 섞지 말고, 죽 위에 토핑을 조금씩 얹어서 먹어야 맛있다. 포항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포항 해상공원 캐릭터 테마파크, 포항 송도해수욕장이 있다.
18.1Km 2024-01-09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불종로 48
시민제과는 1949년에 개업한 베이커리 카페이다. 현지인들은 물론 타 지역 사람들에게도 오랜 사랑을 받아왔고, 중소벤처기업부 인증 백년가게로 3대째 이어오고 있는 포항시 1호 제과점이다. 대표메뉴는 쫄깃한 빵 안에 고운 팥앙금을 넣은 1949단팥빵과 100% 국내산 찹쌀을 사용하여 만들어 전통적인 맛을 자랑하는 1949찹쌀떡이다. 이 외에도 포항의 특산물인 ‘정구지’로 만든 소가 듬뿍 들어간 추억의 맛인 정구지 퐝과 프랑스 최고급 고메버터와 진하고 고운 팥앙금을 샌드하여 달콤하고 진한 고소한 맛인 검정고무신 등의 빵도 맛볼 수 있다.
18.1Km 2025-07-18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영덕대게로 61
054-730-6514
영덕 블루로드 3코스 바람의 언덕은 총 17.6㎞ 길이로 걷는 시간이 편도 약 4시간 55분 소요되는 코스이다. 코스는 강구대게거리 → 해맞이 등산로 입구 → 금진구름다리 → 고불봉 입구 → 영덕환경자원관리센터 입구 → 정크트릭아트전시관 → 영덕신재생에너전시관 → 창포말등대로 진행되며, 영덕의 산림 관광명소를 잇는 테마여행 코스이다.
18.1Km 2024-06-13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연일읍 새마을로766번길 59
달전재사는 조선 중기 문신 이언적의 위패를 모신 재사(묘소나 사묘 옆에 지은 집)이다. 1402년 경에 창건한 건물이라고 구전될 뿐 확실한 근거자료는 없다. 이언적은 1514년 문과에 급제한 인물로 1530년 사간원 사간에 임명되었는데, 김안로의 재등용을 반대하다 관직에서 쫓겨나 귀향하였다. 1547년 을사사화의 여파인 양재역벽서 사건이 일어나 사람들이 다시 축출될 때 그도 연루되어 강제로 유배되었다. 이 재사는 ‘ㅁ’자형 팔작 기와지붕으로 정면 6칸, 측면 6칸으로 이루어져 있다. 건물 배치 형태가 다른 재사 건축에서는 보기 드문 특이한 배치 수법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하학재는 포항시 남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재실(제사를 위한 공간)이다. 조선 중종 때 월성군에 봉해진 우재 손중돈의 묘 재사이다. 손중돈은 양동 마을 입향조인 손소의 둘째 아들로 1489년 문과에 급제한 후 벼슬길에 올랐으나, 김해도부사 때 간언하다 파직되었으나 중종 즉위 후 상주목사로 부임하여 선정을 베풀었다. 그 후로도 여러 벼슬을 하며 지내다가 한성에서 별세하였다. 하학재는 후손인 손종하가 1663년 건립하였고 1873년 대대적으로 중수하였다. 재사는 깬 돌로 쌓은 2중 기단 위에 자연석 주춧돌을 놓고 기둥을 세웠다. 평면 구성은 정면 5칸, 측면 1.5칸의 일자형 집이며 우물마루를 깐 3칸 대청을 중심으로 양쪽에 1칸씩 온돌방이 있다. 재사 내의 건물로는 하학재 이외에 제수청, 주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