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수호정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경주수호정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경주수호정

경주수호정

15.2Km    2025-01-17

경상북도 경주시 포석로1068번길 15-15
010-2379-7248

경주 대릉원 앞에 자리한 경주수호정은 소나무, 황토, 짚 등 천연재료로 지은 한옥 게스트하우스다. 객실마다 화장실 겸용 욕실이 있어 편의성을 높였다. 너른 마당에는 바위탁자를 놓아 휴식과 담소의 공간으로 활용한다. 경주시외·고속버스터미널이 자차로 약 10분 거리로 교통이 편리하고, 황리단길 근처라 경주의 핫플레스 맛집과 멋집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첨성대, 반월성, 안압지 등 유명 관광지도 인근에 있다.

황리단까사드

15.2Km    2024-07-31

경상북도 경주시 포석로1068번길 20-3 (황남동)
010-2375-3950, 0507-1387-3950

황라단까사드는 경주 황리단길 중심에 위치한 신축 독채 한옥으로, 프리이빗하게 연인 또는 가족단위의 여행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실내는 온돌방, 침대방, 주방, 욕실 2개로 구성되어 있고, 실외에는 예쁜 꽃 정원과 돌길, 원목담장, 온실, 야외테이블이 갖춰져 있다. 조적욕조가 있어 하루의 피로를 풀며 힐링하기에도 좋다. 간단한 조식이 제공되고, 카페, 맛집, 대릉원 및 첨성대 등 주요 관광지가 도보 10분 거리에 있어 편리하다.

카페 마르쉐

카페 마르쉐

15.2Km    2025-01-16

경상북도 경주시 첨성로81번길 22-7

카페 마르쉐는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있는 한옥 카페다. 외관은 고풍스럽지만, 안으로 들어가면 디저트가 아기자기하게 진열되어 있다. SNS에 올라온 예쁜 카페 사진들 때문에 경주에 오면 꼭 들른다는 손님들도 많다. 대표 메뉴는 꾸덕꾸덕한 초코시트와 달콤한 초코 소스가 어우러진 마틸다 케이크다. 이 밖에 묵직한 당근시트와 오렌지 캐러멜 소스가 들어간 당근 케이크, 얼그레이의 향긋함을 느낄 수 있는 얼그레이 스콘 등이 있다. 경주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황리단길, 대릉원돌담길, 첨성대가 있다.

도솔마을

도솔마을

15.2Km    2024-08-01

경상북도 경주시 손효자길 8-13

도솔마을은 경주 대릉원 인근에 자리한 한식전문점으로 140년 된 한옥이 인상적이다. 대표 메뉴는 닭볶음탕, 청국장, 묵사발 등이 상에 오르는 수리산 정식이다. 이 밖에 모둠전, 옛날불고기, 파전 등을 취급한다. 음식점 내부에는 단체석과 개별 룸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은 장소이다. 주변 관광지로 첨성대, 경주교촌한옥마을, 국립경주박물관 등 경주의 유명 관광지가 많다.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박물관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박물관

15.2Km    2024-09-03

경상북도 경주시 동대로 123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박물관은 불교정신을 바탕으로 학술과 인격을 연마하는 동국대학교에서 운영하는 박물관이다. 경상북도 경주시 석장동에 자리하고 있는 박물관으로 불교 유물의 수집, 정리, 전시와 더불어 유적의 발굴조사와 연구를 목적으로 1983년 개관하였다. 개관 당시에는 도서관 건물의 3층과 4층을 사용하였고 동국대학교 박물관 경주 분관으로 출발하였다. 이후 1985년 4월에 전시실을 도서관 2층으로 확장, 이전하고, 1994년 사무실 및 부속시설을 전시실 옆으로 확장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박물관은 전시실, 수장고, 연구실, 사무실로 구성되어 있다. 소장품으로는 불교 관련 조각, 회화, 공예품들이 주를 이루며 경주지역에서 발굴된 유물들도 함께 소장되어 있으며, 금속류 483점, 옥석류 311점, 토기류 1,622점, 서화류 99점 등을 포함하여 약 3,000여 점에 이른다. 이 밖에도 석장사지, 경주 남산 천룡사지를 발굴하였으며, 1994년에는 고고 미술사학과 유적 조사팀과 합동으로 경주 석장동의 금장대 암각화를 발견하였다. 2011년에는 경주시 성건동 통일신라시대 건물 터에서 유아묘 1기를 발굴하였다.

소바카게

15.2Km    2024-01-04

경상북도 경주시 첨성로99번길 25-5

소바카게는 경주 황리단길 마제소바 전문점이다. 마제소바는 ‘섞다’를 뜻하는 마제루와 ‘국수’를 뜻하는 소바가 합쳐진 말이다. 마치 우리나라의 비빔밥을 연상시키듯이 여러 가지 음식재료들이 면 위에 가지런히 얹어져 있는 모습이 특징이다.

천마총(대릉원)

15.2Km    2024-05-10

경상북도 경주시 계림로 9

경주 대릉원 안에 있는 천마총은 5세기 말에서 6세기 초에 축조된 고분으로 추정되며 1973년에 발굴된 신라 특유의 돌무지덧널무덤이다. 높이 12.7m, 지름 50m의 능으로 봉토 내에는 냇가의 돌로 쌓은 적석층이 있고, 적석층 안에는 길이 6.5m, 너비 4.2m, 높이2.1m의 나무로 된 방이 있어, 그 중앙에 목관을 놓고 시신을 안치했다. 대릉원의 고분군 중 유일하게 공개하고 있는 고분 천마총은 옆에 위치한 황남대총을 발굴하기 위해 시범적으로 발굴한 곳인데, 당시 기술로는 황남대총 같이 거대한 규모의 무덤을 발굴하기가 힘들었기 때문이다. 출토된 유물은 금관, 금모자, 새날개 모양 관식, 금 허리띠, 금동으로 된 신발 등 피장자가 착용한 유물들이 있으며 모두 11,526점이다. 그 중 대표적인 유물 금관은 전형적인 신라금관의 형태로 앞면에는 나뭇가지 모양의 장식이 세 줄이 솟아 있고 뒷면에는 사슴뿔 모양이 두 줄로 그리고 나뭇가지 모양의 장식에는 생명력을 상징하듯 돋아나는 싹 모양과 태아형태의 곡옥 장식들이 달려있으며, 지금까지 출토된 금관 중 가장 크고 화려한 것이다. 또한 자작나무 껍질에 하늘을 나는 말이 그려진 말다래(말을 탄 사람의 옷에 흙이 튀지 않도록 가죽 같은 것을 말의 안장 양쪽에 늘어뜨려 놓은 기구)인 천마도는 우리나라 고분에서 처음 출토된 귀중한 그림으로 현재까지 남아 있는 신라의 대표적인 회화작품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아 국보로 지정되었다. 이 부장품 덕에 이 고분을 천마총(天馬塚)이라 부르며 천마총의 실제 유물들은 경주국립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양지식당

양지식당

15.2Km    2025-01-20

경상북도 경주시 교촌길 30

양지식당은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위치하고 있다. SBS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활의 달인>에 소개되었던 곳이다. 깔끔한 외관과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쌀밥에 콩나물, 당근, 파, 팽이버섯, 김가루, 양념장을 넣어 비벼 먹는 콩나물밥이다. 오징어 등의 해산물을 넣고 노릇노릇하게 구운 파전도 인기가 많다.

포석로 소갈비찜

포석로 소갈비찜

15.2Km    2024-06-27

경상북도 경주시 포석로1068번길 22

포석로 소갈비찜은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있다. 한옥으로 지어진 덕분에 외관에서 고풍스러운 멋이 풍긴다.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도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간장 소갈비찜이며, 고추장 소갈비찜도 인기가 많다. 이 밖에 해물파전, 부추전, 명란마요 주먹밥, 참치마요 주먹밥 등을 판다. 경주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첨성대를 비롯해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교촌한옥마을 등 경주의 유명 관광지가 많다.

삼릉계곡마애석가여래좌상

15.2Km    2024-06-17

경상북도 경주시 남산순환로 341-126

경주시 배동의 거대한 자연 바위벽에 새긴 앉아 있는 모습의 석가여래불로 높이는 6m이다. 남산의 좌불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통일신라시대 후기에 유행하던 양식의 마애불로 추정된다. 바위 자체가 약간 뒤로 기울어져 있어 조각된 불상이 먼 하늘을 올려다보는 것처럼 보인다. 몸을 약간 뒤로 젖히고 있으며, 반쯤 뜬 눈은 속세의 중생을 굽어살펴 보는 것 같다. 머리에서 어깨까지는 입체감 있게 깊게 새겨서 돋보이게 했으나 몸체는 아주 얕게 새겼다. 이곳에 있는 다른 불상들의 세련되고 단정한 얼굴과는 달리, 이 불상은 약간 투박한 느낌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