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Km 2019-11-12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온천천로101번길 10-2
0102127927
#본 업소는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으로 외국인만 이용이 가능하며 내국인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부산대학교 역에서 5분 거리에 위치한 게스트하우스이다.
13.7Km 2025-03-05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76번길 1 부산문화회관
재단법인 부산문화회관이 운영하는 부산문화회관은 1988년 대극장 준공을 시작으로 1993년 전관을 개관하였다. 대극장(1,417석)과 중극장(783석), 어린이 전용극장인 사랑채극장(312석)과 클래식 전용극장인 챔버홀(414석)을 운영하고 있으며, 뮤지컬, 클래식, 무용, 연극 등 다양한 공연을 개최하고 있다. 전시실에서는 부산미술대전, 부산서예대전 등 대규모 공모전을 비롯하여 다양한 기획전시가, 2024년 신규 개관한 배움터에서는 매년 상·하반기 문화예술 아카데미가 열린다. 야외공원은 부산문화회관과 부산시립박물관, UN공원을 하나로 이어주는 문화공원으로서 시민들을 위한 휴식 공원으로 조성되어 유치원, 어린이들의 휴식공간, 소풍장소로 각광받고 있다.
13.7Km 2024-06-28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로149번길 12
김해 장유에 있는 카페 딥밀은 공장 단지 사이에 있어 처음 방문하는 사람은 찾기 힘든 곳에 있다. 아이보리 컬러의 단층 건물이고 카페 내부는 모던한 인테리어와 심플한 가구들이 배치되어 있다. 카페 중앙에 선인장과 나무가 심겨 있어 이색적인 분위기가 있는 베이커리 카페이다. 1층으로 이루어진 딥밀은 한쪽 공간을 분리하여 노키즈 존으로 운영하고 있다. 오전, 오후에는 커피와 샌드위치, 빵 등을 먹을 수 있고 저녁이 되면 맥주와 칵테일, 간단한 안주를 만들어 판매하고 있어 카페뿐 아니라 가볍게 맥주를 마실 수 있는 곳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10분 거리에 대청계곡도 있어 함께 방문하기 좋다.
13.7Km 2024-07-31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
8~7천만 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말 다대포-송도 지역의 동쪽에 위치한 동래단층과 서쪽의 양산단층이 움직이면서 두 단층 사이의 땅이 벌어지고 움푹 꺼져 그릇 모양의 다대포분지가 만들어졌다. 이 분지에는 큰 호수가 만들어지면서 두꺼운 퇴적층들이 쌓이게 되었고, 이 퇴적층을 다대포층이라 한다. 다대포층은 구성하고 있는 암석의 특징(붉은색층의 존재유무, 화산성 물질의 함량)과 퇴적환경의 차이에 따라 다시 하부다대포층과 상부다대포층으로 나뉜다. 송도반도에서는 한국의 지질노두 150선에 선정된 다대포층이 해안가를 따라 하부부터 상부까지 연속으로 나타나며, 우리나라 제1호 해수욕장인 송도해수욕장 경관과 함께 공룡알둥지화석, 석회질고토양, 암맥, 단층 등의 지질기록을 만끽할 수 있다.
13.7Km 2025-04-04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박물관은 1978년 7월 11일 개관한 이래 문화유산의 수집, 보존, 전시, 연구, 발굴, 조사, 박물관 교육 등 부산지역 전통문화 계승에 앞장서 왔다. 산하에 복천박물관, 동삼동패총전시관, 부산근대역사관, 임시수도기념관 등 전문박물관을 두고 있는 부산의 대표적 종합역사 박물관으로 소장유물은 총 45,000여 점이며, 그 중 1,300여 점의 유물을 상설 전시하고 있다. 부산박물관은 2002년 부산관을 신축하여 문화에 대한 시민들의 욕구 충족을 위해 노력하기도 하였고, 2014년 동래관 리모델링, 2015년 보존관리동 신축에 이어 2017년 7월에는 리모델링한 부산관을 재개관 하였다. 부산박물관의 주요 사업 내용은 문화재발굴조사연구, 어린이 및 성인 강좌, 박물관대학 등 교육, 특별전시, 문화재보존 및 관리, 자료수집 학술연구논문집 발간 등 종합문화교육의 장이라 할 수 있다.
13.7Km 2025-03-05
부산광역시 남구 홍곡로320번길 100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은 일제강점기 강제 동원의 실상을 규명함으로써 성숙한 역사의식을 고취하고, 인권과 세계 평화에 대한 국민 교육의 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총 7만 5465㎡의 부지에 지상 3층 지하 4층, 건물 연면적 1만 2062㎡ 규모로 정부에서 수집한 강제 동원 수기, 사진, 박물류 등을 전시하고 있다. 역사관은 ‘유족을 위한 추도·기념시설’로서는 물론, ‘일제 강제 동원 역사교육 공간’이자 ‘지역 주민의 친환경적 휴식 공간’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UN기념공원, UN 평화기념관과 함께 UN 평화문화특구로 지정되어 있어 평화와 인권의 역사를 기억하고 체험하는 역사 관광 명소이다.
13.7Km 2024-05-10
부산광역시 영도구 와치로 36
청학 배수지 공간을 전망대로 만든 것이다.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야경과 부산항 대교의 불빛은 시민들에게 포토존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각종 운동기구가 설치되어 있어 산책, 조깅을 하기에 적합한 곳이다. 청학배수지 전망대 인근에는 조내기 고구마 역사 공원, 남파랑길 2코스 산책로, 봉래산 등 관광지가 있다.
13.7Km 2025-03-25
부산광역시 금정구 북문로 126
미륵사는 의상대사가 범어사를 창건한 해에 원효대사가 세운 절이다. 이곳에는 한가운데 위치한 염화 전 뒤편의 거대한 바위가 스님이 좌선하는 모양과 같다고 하여 ‘좌선바위’라 불리고 있다. 이 바위는 여러 개의 바위들이 모자이크 한 듯이 어울려 있는데, 해가 지고 난 뒤 바위와 바위 사이의 금이 보이지 않게 될 때 전체로 보면 그 형상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 좌선바위 뒤편에는 미륵불과 닮은 미륵불을 향해 좌선을 하고 있는 형상의 절묘한 터에 원효는 기도도량을 세운 것이 다. 미륵사이란 이름도 여기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13.8Km 2024-05-03
부산광역시 연제구 과정로 121
부산시 연제구 연산동, 연제 경찰서 근처에 있는 연산낙지해물탕은 해물탕, 곱창전골, 산낙지전골 등이 있는 해물탕과 매운탕 전문점이다. 방에는 입식테이블이 있고 옆으로 좌식 테이블도 마련되어 있다. 대표 메뉴인 해물탕엔 해산물이 푸짐하고, 끓을 때쯤 살아있는 낙지를 손질해 넣어주는 것이 특징이다. 낙곱새, 곱창전골, 산낙지 전골, 낙지전골도 양이 푸짐하고 국물맛도 시원해서 맛있다. 마지막에 볶음밥은 필수일 만큼 별미이다. 현지인들도 많이 찾는 맛집으로 예약 후 방문하면 대기 없이 입장할 수 있다. 전용 주차장이 있어 편리하다. 박차정의사 생가, 충렬사가 인접해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