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Km 2025-09-15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헐티로 1190
대구 달성군에 위치한 광덕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 소속 사찰이다. 이 사찰은 1967년 정운성에 의해 창립되었다. 광덕사는 납골당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부처님 오신 날과 같은 특별한 날에는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방문한다. 사찰 건물로는 대웅보전, 산신각, 독성각, 요사채가 있으며, 사찰 입구에는 범종각과 포대 화상이 자리하고 있다. 이 사찰은 고즈넉한 자연 속에 자리 잡고 있으며, 방문객들에게 평화롭고 조용한 분위기를 제공한다.
16.0Km 2025-01-08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오산리
※상수도 보호구역으로 낚시 불가
가창저수지 주변은 산책하기 좋다. 가창댐길은 가창 헐티로와 가창저수지 수변 공간을 따라 나무데크 둘레길, 숲길, 마을로 이어지는 걷기 좋은 산책길이자 자연친화적인 드라이브 코스로, 대구 시민들이 즐겨찾는 휴게 명소로 자리잡은 곳이다. 가창저수지를 한눈에 담으려면 대구시 달성군 소재 주암산에 오르면 된다. 가창저수지의 물은 식수나 농업용수로 이용된다.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낚시는 불가능하다.
16.0Km 2025-03-18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신촌길 156-4
청도군 이서면 신촌리에 위치한 지산서원은 일청재 박호, 모효재 박지현, 경양재 박태고, 죽옹 박중채를 향사하기 위해 건립한 서원이다. 일청재 박호, 모효재 박지현, 경양재 박태고, 죽옹 박중채를 향사하기 위해 1844년(헌종 10)에 창건하였다. 1868년(고종 5)에 흥선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었다가 당시 사재인 영모재를 매수하여 ‘지산서원’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1964년 상청사를 다시 지었다. 건물은 정면 4칸, 측면 1칸 반 규모의 팔각지붕이다. 전면의 토석 담장 사이에는 3칸 규모의 산형 대문을 세워 강당으로 출입케 하였으며, 강당의 우측에는 별도의 공간을 마련한 후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맞배기와집인 사당을 세웠다. 강당의 평면은 가운데에 온돌방 2칸을 두고 좌우측에 대청 1칸씩을 연접시켰는데, 좌측 대청의 주위에는 계자각을 세워 누마루를 이루게 하였다.
16.0Km 2025-08-25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
인양사를 비롯해 이와 관련 있는 여러 절의 범종, 탑, 금당 등의 조성연대와 쓰인 식량 등을 낱낱이 기록하고 있는 비이다. 통일신라 혜공왕 7년(771) 인양사 종을 만든 일부터 이 비석을 세운 신라 헌덕왕 2년(810)까지 40년간의 일을 기록한 특수한 비석이다. 인양사 비상(碑像)이라고도 한다. 비는 직사각형의 바닥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커다란 지붕돌을 올린 모습이다. 비 뒷면에는 스님의 모습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사찰 조성에 관련된 당시의 승려를 기리기 위해 새겨놓은 것으로 추정한다. 스님은 앳된 얼굴에 자비로운 모습이며, 사람의 몸을 모방한 부드러운 선이 8∼9세기 조각수법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비문에 새겨진 글씨의 형태는 당시에 유행했던 해서체의 범주를 벗어나 여러 가지 형태를 보여주고 있어 새로운 서체의 전개를 살필 수 있으며, 비문은 〈조선금석총람〉에 실려있다. 당시 일반적인 비의 형태를 벗어나고, 지나치게 큰 지붕돌이 원래의 것인지는 의심스럽지만 통일신라 전성기의 불찰조성을 기록한 비석으로서 특수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한국전쟁 때 피해를 보아 총탄의 흔적이 남아있다.
16.0Km 2024-09-27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산10-1
학이 날아와 앉은 모습과 닮았다는 학산공원. 이곳은 공원 전망대에서 일출과 일몰을 감상할 수 있어서 많은 사람이 찾아온다. 전망대로 가장 빨리 오르는 길은 학산공원 공영주차장에서 시작된다. 주차장을 지나면 학 모양의 조형물이 자리 잡은 분수대, 여러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다목적운동장 등이 나온다. 다목적운동장부터 전망대까지는 약 15분가량 소요된다.
16.1Km 2025-09-09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가창로119길 13
가창닭갈비는 대구광역시 외곽에 위치한 음식점이다. 대표 메뉴는 닭갈비로 닭갈비 자체만으로도 충분한 식사가 될 정도로 양이 푸짐하다. 라면과 달걀, 전을 직접 조리해 먹을 수 있는 셀프바가 있는데, 라면은 테이블당 1개, 달걀은 1인당 1개씩으로 제한된다. 파동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워터파크 스파밸리가 있어 가족 나들이 장소로 좋다.
16.1Km 2025-08-18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좌학길 106
파랑공방은 목공예를 직접 체험 할 수 있는 공방으로 전문 목공 기능인의 지도하에 안전하게 도마, 의자, 메뉴판 등 자신이 원하는 원목 소품과 가구를 직접 만들 수 있는 곳이다. 손으로 목재를 가공하고 조립하는 과정에서 나무를 직접 만지고 느끼면서 정서적 안정과 집중력을 얻을 수 있고 더 나아가 결과물에서 오는 성취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파랑공방 대표는 찾아가는 목공 교실을 운영하여 학교나 여러 교육기관에서 단체 수업을 진행하기도 한다.
16.1Km 2025-07-28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좌학길 106
캠핑 분위기 속에서 즐기는 진짜 패티로 만든 수제버거. 100% 소고기 부챗살로만 매일 직접 갈아 만든 진짜 패티와 싱싱한 야채가 어우러진 진짜 수제버거이다.
캠핑 분위기의 인테리어에서 색다른 즐거움을 느낄 수 있으며, 시원한 음료들도 즐길 수 있다. 가게 주변에는 전국적으로 규모나 아름다움으로 유명한 "고령 다산 은행나무숲"이 있다고 한다. 자연적으로 숲이 조성된 몇 안 되는 대규모 숲이다. 최근 관광객들의 발길이 많이 늘어 더욱 좋은 행사와 시설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16.1Km 2025-06-26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가창로108길 7
쾌적한 자연환경 속에 고급 샤워시설을 갖춘 실내 테니스장으로서 대구 최대 5면을 운영하고 있는 가창 실내테니스장이다. 대구 일반부 대표 출신 베테랑 지도자의 레슨은 상대를 배려하며 본인의 능력에 맞게 정상구와 감압구(매직볼)를 병행해서 쉽고 빠르게 지도한다. 강습 3개월이면 ‘나도 경기한다’ 라는 슬로건으로 중도에 포기할 수도 있는 테니스를 즐거운 클럽활동으로 지속하게 안내하며 함께 운동하고 싶은 회원은 1일 회비 1만 원으로 2회까지 탐방하고 입회하면 된다.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사단법인 한국스포츠지도자협회(KSLC) 부설 한국 테니스지도자 연수원이기도 하여 지도자 연수도 같이하고 있고 사무실과 간단한 용품판매점도 있다.
16.1Km 2025-06-10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송현리
석빙고는 추운 겨울에 얼음을 채취하여 더운 여름까지 보관하여 사용한 선조들의 지혜가 돋보이는 얼음 창고이다. 빙고 우측에 남아있는 비석에 의하면 '숭정기원후재임술이월초일일여사월초십일필'이라 새겨져 있어, 1742년에 현감 신서 등이 축조한 것으로 보인다. 구조 양식과 장빙의 풍속 등으로 봤을 때 조선시대 건축한 것으로 추정한다. 창녕 석빙고는 봉토가 거의 완전하며, 외부의 모양은 마치 거대한 고분처럼 보이고 뒤에 흐르는 개천과 직각이 되게 남북으로 구축했다. 빙실의 입구는 남쪽에 설치했는데, 좌우에 장대석을 옆으로 건너지르며 쌓아 올려서 천정을 구성하였으며 천정에는 외부로 통하는 환기공이 두 곳 있다. 벽은 잡석으로 쌓았으나 평평한 방벽이 되게 표면을 치석했다. 이러한 구조 양식은 석빙고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경주, 안동의 석빙고와 동일하고 규모에 있어서는 창녕 석빙고가 약간 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