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운궁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운궁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개운궁

개운궁

4.7Km    2024-04-29

경상북도 상주시 경상대로 2882

경상북도 상주의 토속음식을 제대로 맛볼 수 있는 개운궁이다. 800여 평 대지위에 꾸며진 넓은 정원과 옛 향수를 불러오는 민속품과 소품, 옛 고향집에 온 것 같은 한옥풍의 아늑한 식당이다. 동호회, 세미나, 동창회, 가족모임 등 각종 행사 단체 손님을 위해 최신 음향시스템과 노래방, 어린이를 위한 놀이시설 등을 구비하고 있다. 개운궁은 최고급 오리, 능이버섯, 닭만을 선별하여 취급하고 있다. 메뉴는 능이버섯전골, 가마솥능이오리 또는 토종다락, 두부전골, 돼지갈비찜, 불고기정식 등의 정갈한 자연음식이 준비되어 있다.

상주향교

5.0Km    2024-06-17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2길 111

상주향교는 1426년(세종 8) 현유의 위패를 봉안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18년(광해군 10)에 중건하였다. 현재의 남산중학교 일대가 향교의 경내였으나, 1949년 학교로 개조되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정면 5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대성전,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동재, 원래의 것을 축소한 것으로 보이는 서재,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누각인 태평루 등이 있다. 정면 10여 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동무와 서무는 현재 학교의 교실로 사용되고 있으며, 명륜당은 1920년대에 소실되어 그 자리에 교실을 신축하였다. 대성전에는 5성과 송조4현, 우리 나라 18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대재를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이 향교의 대성전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현재 남산중학교의 소유로 되어 있다. 상주향교는 문화재청에서 진행하는 문화재 활용사업인 [향교에서 즐겨보자]를 진행한다. 프로그램은 향교스테이를 통한 선비체험, 전통미풍양속 프로그램, 선비문화 정착을 위한 유교인문학 강좌, 단오절 전통민속놀이(그네뛰기, 창포물 머리감기, 궁기꽂이, 떡메치기, 윷놀이, 종경도놀이, 국궁, 투호놀이 등)을 체험할 수 있는 체험학교를 운영한다. 상시 프로그램인 성균관 문화관광 프로그램은 선비문화 정착을 위한 선비예절과 유생체험이 있고, 유교 전통의 현대적 계승과 미래적 가치를 습득하여 문화·교양인 양성을 위한 성균관유교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 상주향교는 그 어느 향교보다 문화유산을 활용하여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고자 하며 유교문화의 전통을 계승하고 보급하고자 노력하는 개방된 향교이다.

남산가든

남산가든

5.1Km    2024-01-19

경상북도 상주시 신서문1길 137

남산가든은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자리 잡고 있다. TV조선 시사 교양 프로그램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에 소개되었다. 대표 메뉴는 고추장 석쇠구이다. 이 밖에 간장 석쇠구이, 우렁이 무침 등이 있다. 남상주 IC와 상주역에서 가깝다. 인근에 남산 근린공원이 있어 식전이나 식후에 산책 삼아 방문하기 좋다.

상주공간

5.3Km    2024-12-18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2길 22

상주공간은 상주시에서 자고 나라는, 제철 특산물을 이용한 디저트와 브런치를 매일 연구한다. 한쪽에는 편히 읽고 구매할 수 있는 책이 구비되어 있으며, 단체 이벤트 및 스몰웨딩과 생일파티를 위한 공간대여 & 케이터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루프탑은 건물 5층에 위치하여 상주 시내 전경을 즐길 수 있다.

창석사당

5.3Km    2024-10-31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가천3길 70

창석사당은 창석 이준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1656년 창건됐다가 1771년(영조 41)에 월간사당과 함께 체화당이 있는 곳으로 옮겨 세워졌다. 창석사당과 월간사당은 같은 구조로 대문채는 정면 5칸 중 좌측에서부터 문간방, 대문간, 고방, 방, 부엌의 순으로 되어 있었으나, 대문간은 앞쪽을 토벽으로 막고 고방은 앞쪽을 개방하여 마루로 개조하였다. 사당은 장대석으로 기단을 쌓고 원형으로 다듬은 주초를 놓아서 원기둥을 세웠다. 지붕은 겹처마로 양측 면의 박공면에는 풍판을 달았다. 체화당은 이전의 셋째 아들 신규가 1632년(인조 10)에 지었으며, 이전이 살던 집이다. 건물로는 창덕사당과 이전을 모시는 월간사당 등이 있다. 여기서 체화는 형제가 우애롭게 지낸 것을 상징한다. 이전은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으로, 동생 이준이 백화산전투에서 병으로 죽어가고 있을 때 죽음을 무릅쓴 채 동생을 업고 전장을 빠져나와 생명을 건지게 했으며 이들 형제간의 우애를 그림으로 그린 형제급난도가 전해진다.

장어이야기

장어이야기

5.3Km    2021-03-11

경상북도 상주시 경상대로 2941
054-533-6422

깔끔하고 담백한 장어구이 맛집이다.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장어소금구이와 양념구이가 대표메뉴이며, 싱싱한 장어를 취급한다.

광덕사(상주)

광덕사(상주)

5.5Km    2024-12-09

경상북도 상주시 구서2길 138

1925년 동학 상주지구 접주였던 해운당 배순광이 불교에 귀의하여 창건한 사찰로, 절에 전하는 광덕사는 상주시 외남면 서산에 위치해 있다. 1974년 대한불교법화종 말사로 등록하였고, 1988년 7월 전통사찰로 선정되었다. 1954년 배순광스님이 입적한 후부터 경수스님이 주지로 주석하며 1990년 대웅전·삼성각을 중수하고, 1992년 오층석탑, 1993년 종각을 지어 오늘의 모습에 이른다. 경내에는 1952년 동학의 거장 수운 최제우의 [도덕연원 영세불망비]를 세워 매년 이날 천제를 올리고 있다. 상주 인근 지역에 동학교당이 있어 이와 연계하여 관람하며 그 의미를 짚어볼 만하다. 서산(512.9m)은 서산대사에 대한 전설이 있다. 임진왜란 때 서산대사가 왜군을 쫒아 묘향산에서 내려오던 길에 이 산에 이르러 지팡이를 꽂았는데 그 지팡이에서 싹이 난 후 큰 나무가 되고 죽으면 자신이 죽은 줄 알라고 했다고 한다. 서산이라는 이름도 서산대사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광덕사는 서산에서 가장 풍광이 뛰어난 위치에 자리 잡고 있다.

승곡마을

승곡마을

5.5Km    2024-11-15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1길 34

상주시 낙동면 승곡마을은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의성군, 구미시와 인접하고 있으며 중부내륙고속도로와 국도 25호선이 지나가고 있어 접근성이 매우 용이하다. (서울 2시간, 부산 2시간 30분, 대구 40분, 구미 20분) 예로부터 낙동강의 최상류에 위치하여 비옥한 농토와 맑은 물로 농사를 지은 상주쌀이 유명하며 최근에는 친환경농법으로 재배한 사과, 배, 고추 등이 많이 생산되고 있으며, 특히 상주의 대표적인 농산물인 감을 이용하여 사육되고 있는 “상주 감 먹는 한우”의 본고장이며 전국적인 브랜드 명성과 인지도를 높여가고 있다. 우리 민족의 얼과 전통이 깃든 문화재로 양진당, 추원당, 옥류정, 오작당 등이 있으며 이곳을 중심으로 매년 전통문화체험과 종가체험으로 사자소학, 천자문, 예절교육, 다도, 서예, 전통음식 만들기 등을 도시지역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다. 깨끗한 물과 자연 그대로의 농촌경관을 보유하고 있어 토종 곤충과 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국가지정 문화재 천연기념물인 세계 어느 지역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구상화강암이 있다.

상주시 문화회관

상주시 문화회관

5.6Km    2024-11-12

경상북도 상주시 상산로 235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위치하고 있는 상주시 문화회관은 1990년 11월 7일에 개관한 상주시의 대표적인 문화예술공간이다. 연면적 3441㎡, 부지면적 2644㎡, 건축면적 1447㎡의 건물로 지하 1층, 지상 4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시설은 대공연장, 소공연장, 전시실도 조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설을 기반으로 지역 주민의 문화생활을 위한 공연과 전시, 그리고 일반행사 등 다양한 문화사업을 진행하여 시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문화생활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한다.

상주문화원

상주문화원

5.6Km    2024-11-06

경상북도 상주시 상산로 235

상주문화원은 상주시 남성동 상주문화회관 내에 있으며, 1961년 지역 문화의 발굴과 계승을 기반으로 지역주민의 문화 활동을 위해 개설되었다. 문화원의 규모는 총 80평으로 주요 시설로는 소강당과 강의실, 자료실이 있다. 문화원에서는 향토 고유문화 보존과 전승, 향토 사료 수집 발굴과 지역사회 교육, 전시 활동 등을 진행하며, 매년 [경천섬 달빛 추억 걷기] 등 지역 문화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이 외에도 외국어, 플룻, 다도, 민요, 서예, 판소리 등 문화 학교 운영과 청소년 충효 교실, 선비아카데미와 같은 다양한 행사와 프로그램으로 상주 군민의 문화생활을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