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시장회센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남해시장회센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남해시장회센터

남해시장회센터

19.9Km    2024-07-09

경상남도 남해군 화전로 11

남해시장회센터는 남해 전통시장 입구에 있는 횟집이다. 오전에 항구에서 갓 잡은 싱싱한 활어를 공수해 오후에 회를 제공하는 수산 시장 스타일의 식당으로 가성비가 좋다. 주로 회를 포장해가는 고객이 많은 편이고, 따로 회를 먹고 갈 수 있는 직영 식당도 준비되어 있다. 저녁 7시부터 자정까지는 5만 원 이상 구매 시 배달도 가능하다. 판매하는 종류도 다양하다. 제철 생선은 물론이고 참돔, 광어, 우럭 등 회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즐겨 찾는 회가 준비되어 있으며, 전복 멍게, 해삼 등의 해물류와 가리비, 대합, 참조개 등의 조개류도 맛볼 수 있다. 또한, 사람 수를 기준으로 모둠회나 해물 세트 등의 세트 메뉴도 구성되어 있어 저녁 시간 술 한잔과 함께 모임을 하기에도 좋은 장소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남해유배문학관

19.9Km    2025-03-17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남해대로 2745

남해유배문학관은 국내 최대 문학관으로 유배문학을 연구하고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2010년 11월 1일 개관되었다. 권력도 부귀영화도 모두 빼앗긴 채 ‘유배’라는 백척간두에 선 절망적인 삶 속에서도 문학과 예술을 꽃피웠던 우리 선조들의 숭고한 불멸의 혼을 기리기 위해 우리나라 최초로 건립된 남해유배문학관은 세월 속에 잊혀져 가는 유배객들을 기리는 문학의 진한 향기가 피어나는 공간이다.

남해전통시장

남해전통시장

19.9Km    2024-05-17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화전로 110

남해전통시장은 현재 상설시장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끝자리가 2일, 7일인 날(2일, 7일, 12일, 17일, 22일, 27일)에는 규모 있게 장이 서는 전통시장이다. 예로부터 맛있기로 소문난 남해바다의 각종 수산물과 청정 남해에서 생산된 무공해 제철 농산물이 선을 보이는 곳으로, 12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한다. 문화관광형 육성사업으로 깨끗하고 현대화되고 있어 쾌적한 분위기에서 장을 볼 수 있다. 시장의 양 입구 쪽으로는 과일이나 농산물을 주로 팔고, 시장 한가운데인 ‘나’ 구역 양쪽으로는 길게 어시장 좌판이 형성되어 있다. 이곳 시장에선 어디에서나 제철 해산물을 직접 손질해 먹기 좋게 썰어준다. 어종과 가격표가 대부분 공개되어 있어 어딜 가도 맛있는 회와 해산물을 맛볼 수 있다. 또 시장 안팎으로 멸치쌈밥, 도다리쑥국, 전복죽, 장어구이, 아귀찜, 동태탕, 국밥 등 다양한 메뉴의 식당이 많아 취향대로 골라 먹기도 좋다.

남해장 (2, 7일)

남해장 (2, 7일)

20.0Km    2024-08-22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화전로 110
055-864-3592

남해읍 화전로에 있는 남해전통시장은 남해군의 가장 큰 상설시장이자 대표적인 어시장이다. 무려 120여 년 전부터 장이 서기 시작했으며, 본격적으로 상인회가 개설된 것도 1978년부터이다. 110여곳의 점포가 운영되고 있고, 자영업과 노점상 등 총 230여명이 남해의 농수산물, 축산물, 생활 잡화 등을 도소매하며 살아가고 있다. 매달 2일, 7일에 개설되는 오일장에는 지역 주민이 재배하고 수확한 마늘, 시금치, 과일, 채소, 곡식 등 다양한 농산물과 해산물을 판매되고 있어 품질 좋고, 가격도 저렴하다. 남해전통시장의 양 입구 쪽으로는 과일이나 농산물을 주로 팔거나 잡화점이나 식당이 즐비하고, 시장 한가운데는 어시장 좌판이 형성되어 있어 제철 해산물을 직접 손질해 주고 있으며, 어종과 가격표가 대부분 공개되어 있다. 남해읍 지역은 역사문화자원이 풍부하고, 전통시장이 지닌 오랜 멋과 더불어 마른 생선과 각종 어류 등 수산물이 강세를 보이는 특성화된 시장이다. 장날은 물론이고 평일에도 사람들이 붐비는 활기찬 관광지이기도 하다. 시장 안팎으로 멸치쌈밥, 도다리쑥국, 전복죽, 장어구이, 아귀찜, 동태탕, 국밥 등 다양한 지역 특색이 있는 식당들도 가볼만 하다.

남해향교

남해향교

20.0Km    2025-03-17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북변리

남해향교는 1450년 하신(河紳)이 남해현령으로 재임할 때 봉강산 포교당터에 건립하여 개교하였다. 임진왜란 때 화재로 소실된 후 1669년(현종 10)에 사당인 대성전을 고쳐 세웠다. 그 후 고종 29년(1892)에 대성전을 비롯한 동·서 양무와 내삼문을 지금의 위치로 옮겼고, 점차 그 밖의 건물들도 모두 옮겨 세웠다. 완만한 경사지에 출입구인 외삼문, 유생들의 거처인 동재와 서재, 공부하는 곳인 명륜당이 비교적 낮은 터에 있고, 그 뒤로 조금 높은 터에 내삼문과 성현에 제사를 지내는 대성전이 위치하여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건물의 배치는 전형적이나 서재의 남쪽에 담장을 붙여 돌단을 쌓은 것은 다른 향교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