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정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정식당

정식당

15.6Km    2024-05-29

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130번길 37-13
042-257-5055

정식당은 닭볶음탕으로 약 30여 년간 운영해온 한식당이다.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아 맞은편에 2호점을 내기도 했다. 대표 메뉴는 닭볶음탕으로 매운맛이 강한 편이라 같이 곁들여 나오는 동치미 국물과 먹거나 남은 국물에 밥을 볶아 즐기기도 한다. 이외에도 토종한방백숙, 한방오리백숙, 미꾸라지튀김, 녹두빈대떡 등이 있다. TV 프로그램 [백종원의 3대 천왕]에도 방영된 곳으로 많은 이들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 주변에는 으능정이문화의거리, 성심당 본점, 충청남도청 구청사, 한화생명이글스파크, 충무체육관 등이 있다.

대전 0시 축제

대전 0시 축제

15.6Km    2025-06-30

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 148
042-120

대전 0시 축제’는 ‘잘 있거라 나는 간다~대전발 0시 50분~’이라는 추억의 대중가요 ‘대전 부르스’를 모티브로 한 축제이다. 대전이 가진 모든 재미를 꺼지지 않게 지속시킨다는 의미의 ‘잠들지 않는 대전 꺼지지 않는 재미’라는 축제의 캐치프레이즈를 필두로,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인이 함께 즐기는 글로벌 축제를 목표로 한다. 대전 0시 축제는 ‘시간여행 축제’라는 차별화된 주제를 바탕으로 대전역에서 옛충남도청까지 중앙로 1km 구간을 차없는 거리로 운영하며 구역마다 대전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만날 수 있다.

대흥동 문화예술의거리

대흥동 문화예술의거리

15.6Km    2025-03-18

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동

대전 중구 대흥동 일대는 대전의 원도심이다. 세련된 도시 이미지가 느껴지는 건물과 카페가 있는가 하면, 1970~80년대를 떠올리게 하는 손때 묻은 풍경이 공존한다. 대흥동을 멋스럽게 꾸미는 것은 낡고 허름해 보이는 건물과 외벽에 그려진 빈티지한 그림이다. 벽을 뚫고 나오는 자동차, 산호다방 건물의 옷걸이에 걸린 티셔츠, 산호여인숙 골목의 티셔츠, 골목길 전기계량기에 그려진 그림이 아날로그적 풍경을 연출한다. 이밖에 오래된 골목과 화방, 소극장, 갤러리도 눈에 띈다.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세종전통문화체험관

15.6Km    2025-05-20

세종특별자치시 모롱지로 94 (세종동)
010-3815-3028

세종 전통문화체험관은 온고지신(溫故知新)의 뜻에 따라, 우리가 가진 옛것을 널리 알리고 깨우쳐 미래로 나아가는 공간으로 아이부터 어른까지 모두가 함께 전통문화를 배우고 느끼는 체험 활동을 경험할 수 있다. 전통예술 분야의 전문가 교육과 세종 시민 누구나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 체험을 향유할 수 있다. 모든 것이 급격하게 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체험관은 잠시 나를 돌아볼 수 있는 곳이다.

명랑식당

명랑식당

15.6Km    2024-12-04

대전광역시 동구 태전로 56-20
042-623-5031

명랑식당은 30년 이상의 전통을 자랑하는 정통 궁중 육개장 전문점이다. 본래 육개장은 대파와 소고기를 주재료로 하여 조선 후기부터 먹기 시작했는데, 고기가 귀하던 시절에는 서민들은 고기의 양을 줄이고 토란대, 고구마줄기, 숙주 등을 넣어 고기의 양을 줄여 먹던 육개장이 현재 대중적인 육개장이 됐다. 이 음식점은 메뉴를 육개장만 취급하고 있으며, 단일 메뉴가 돋보이는 국물이 진한 육개장 맛집으로 알려져 있다. 하나의 메뉴에만 집중하여 육개장의 전통을 살리고 있어 이를 인정받아 중소벤처기업부 인증 백년가게로 선정되었다. 명랑식당은 국도 17호선 대전로, 태전로, 선화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 대전IC와 통영대전고속도로 판암IC가 가깝다. 대중교통은 경부고속철도 및 경부선 철도, 대전도시철도 1호선 대전역을 이용할 수 있다. 주변에는 대전중앙시장, 역전시장, 인쇄거리 등이 있다.

테미오래

15.6Km    2025-07-04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205번길 13

테미오래는 충청남도지사 공관을 포함하여 공무원 관사로 사용되었던 건물이 밀집되어 있는 대전광역시의 지역이다. 과거에는 관사촌으로 불렸으며, 2018년 공모를 통해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테미오래에서 테미는 관사촌이 위치한 마을의 이름이며, 테미오래는 ‘테미로 오라’와 ‘관사촌의 오랜 역사’를 중의적으로 의미한다. 우리나라 놀이의 역사와 시대별 변천사를 알아보고 각기 다른 전시와 다양한 체험 활동을 경험할 수 있다.

공산성연지

공산성연지

15.6Km    2025-07-02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공산성연지는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에 있는 연못터다. 1982년 12월 31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42호로 지정되었다. 영은사 앞에 있는 연못터에 단을 둔 석축을 정연하게 쌓았다. 백제시대부터 계속하여 이용되어 왔음을 시사하고 있는 이 연지는 산성의 구조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다. 백제문화를 둘러보기 좋은 곳으로 공주 IC에서 가깝고, 주변에 금강신관공원과 미르섬이 있다.

공주산성시장

공주산성시장

15.6Km    2024-05-27

충청남도 공주시 용당길 22

1937년에 개설된 공주산성시장은 백제의 왕궁터인 공산성 성곽 아래 있어 역사적, 문화적 전통성을 지닌 시장이다. 공주 유일의 장터로 2012년 문화광광형 시장으로 선정됐으며 특히 밤과 밤과자, 밤막걸리, 올방떡 등 공주의 특산물을 맛볼 수 있다. 시장 내에는 문화공원 분수대, 미니 식물원 등이 조성돼 있다. 상인들로 구성된 라디오 방송국 소리마루는 시장 활성화에 큰 몫을 해내고 있으며 가래떡 나눔 행사, 씨름대회 등의 축제로 일 년 내내 다채롭다. 인근에 공주박물관, 공산성, 무령왕릉 등 관광지가 많아 당일치기 코스로 좋다.

헤이믈

헤이믈

15.7Km    2025-07-04

세종특별자치시 고운한옥1길 3 (고운동)

헤이믈은 세종시에 위치한 한옥카페로, 전통 한옥의 고풍스러운 외관과 세련되고 차분한 현대식 내부 인테리어가 조화를 이루는 공간이다. 차를 중심으로 한 메뉴 구성이 특징이다. 이곳의 시그니처 티세트로는 송이버섯차와 우롱차가 있으며, 해당 메뉴는 전통 다도세트 형식으로 제공된다. 헤이믈에서는 매일 바뀌는 ‘오늘의 차’가 준비되어 있으며, 다양한 차 종류를 보유하고 있어 커피보다 차를 주문하는 고객이 많은 편이다. 주문 카운터에서는 직접 차를 내리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그 뒤편에는 각종 차에 대한 설명이 적혀 있다. 또한, 전통적인 한국 미를 느낄 수 있는 항아리, 전통 컵, 다기세트 등도 별도로 판매하고 있어 또 다른 즐길 거리를 제공한다.

공주 공산성 [유네스코 세계유산]

공주 공산성 [유네스코 세계유산]

15.7Km    2025-04-07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로 280

공산성은 백제시대의 대표적인 성곽으로 백제의 수도가 공주였을 때 공주를 지키던 백제의 산성이다. 백제 성왕 16년(538)에 부여로 도읍을 옮길 때까지의 백제 도성이었으며, 이후 조선시대까지 지방 행정의 중심지였던 곳으로 역사적 가치가 큰 중요한 유적이다. 금강변 야산의 계곡을 둘러싼 포곡형(包谷形) 산성으로, 원래는 흙으로 쌓은 토성이었으나 조선시대에 석성(石城)으로 고쳤다. 쌓은 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며, 백제 때에는 웅진성으로, 고려시대에는 공주산성 또는 공산성으로, 조선시대 이괄의 난(1623)으로 인조가 피난한 이후 쌍수산성으로 불렀다. 백제 멸망 직후에 의자왕이 잠시 머물기도 하였으며, 백제부흥운동의 거점지이기도 하였다. 통일신라시대에는 김헌창의 난(822)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동서로 약 800m, 남북으로 400m 정도의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 4방에 문터가 확인되는데, 남문인 진남루와 북문인 공북루가 남아있다. 동문과 서문은 터만 남아있었는데, 993년에 동문터에는 영동루, 서문터에는 금서루를 복원하였다. 암문, 치성, 고대, 장대, 수구문 등의 방어시설이 남아 있으며, 성 안에는 쌍수정, 영은사, 연지, 임류각지, 만하루지 등이 있다. 또한 연꽃무늬 와당을 비롯하여 백제 기와, 토기 등의 유물들과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유물들이 많이 출토되었다. 성곽을 따라 걸으면 공주 시내를 한눈에 볼 수 있다. 백제문화제 기간에는 공산성 앞에서 금강신관공원까지 부교로 건널 수 있다. 금서루에서는 백제왕국의 위풍당당함을 ‘웅진성수문병근무교대식’으로 볼 수 있고, 금강신관공원에서는 밤풍경이 아름다운 공산성 감상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