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사릉(정순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남양주 사릉(정순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남양주 사릉(정순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14.3 Km    27728     2024-09-06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릉로 180

사릉은 조선 6대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 송씨의 능이다. 1521년(중종 16) 정순왕후가 노산군부인(魯山君夫人)의 신분으로 세상을 떠나자, 대군부인의 예로 장례를 치렀다. 묘는 단종의 누나 경혜공주의 시댁 해주 정씨의 집안 묘역인 지금의 자리에 조성하였고, 해주 정씨 집안에서 제사도 지내주었다. 1698년(숙종 24) 정순왕후로 복위되면서 능의 이름을 사릉이라 하고 묘를 왕릉 제도에 맞게 다시 조성하였다. 이때 사릉 주변에 있던 해주 정씨 묘역을 옮기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숙종의 명으로 묘들을 그대로 두어 현재까지 남아있게 되었다. 사릉의 능침 봉분은 병풍석과 난간석을 생략하였고, 봉분 주변에는 문석인, 석마, 장명등, 석상(혼유석), 망주석을 세웠고, 석양과 석호는 1쌍씩 배치하였다. 능침 아래에는 정자각, 비각, 수라간, 수복방, 홍살문 등이 있고, 비각 안에는 ‘조선국 정순왕후 사릉(朝鮮國 定順王后 思陵)’이라고 새겨진 표석이 있다. (출처 : 국사유산청 궁능유적본부 홈페이지)

포시즌어데이

포시즌어데이

14.4 Km    2     2024-01-22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산로 451-9 (효자동)

북한산 아래 개울가에 위치한 이탈리안 카페 겸 레스토랑이다. 아이들은 동반 가능 카페이며, 모든 음식을 소스부터 직접 만들어 건강하고 맛있는 맛을 자부한다. 파스타, 피자, 샐러드, 스테이크 등 메뉴로 아침 식사와 브런치가 가능한 카페로 여름과 주말에는 예약이 되지 않는다. 봄에는 향긋한 풀 내음과 벚꽃, 여름에는 시원한 계곡과 물놀이 즐기기, 가을에는 낙엽과 멋진 풍경 그리고 겨울에는 눈썰매와 포근한 운치를 느끼며 차와 음식을 즐길 수 있다. 여름에는 바로 옆 계곡에서 한나절 물놀이를 즐기며 편안히 놀 수 있고 튜브에 바람 넣는 기계도 비치되어 있다. 사진 스폿이 많은 편이고 가족과 혹은 연인, 지인들과 오기 편한 곳이다.

배양낚시터

배양낚시터

14.4 Km    0     2024-07-17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고재로191번길 64-17

남양주시 진건읍에 있는 배양리 낚시터는 배양낚시터로 불리긴 하지만 정확한 명칭은 배양리 낚시터다. 입어료는 24시간 기준으로 책정된다. 서울에서 접근하기 부담 없는 거리에 있으며, 약 9,900㎡ 정도 규모에 200석 정도의 자리가 있다. 붕어, 잉어, 향어를 구경할 수 있다. 배양리 낚시터는 다른 낚시터에 비해 밝은 조명이 있어 야간 낚시에 유리하다.

북한산성

14.4 Km    41996     2024-06-12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서문길 375

북한산성은 고양시 효자동과 서울 북부지역에 걸쳐있는 산성이다. 백제가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하였을 할 때 도성을 지키는 북방의 성으로 132년에 처음 축성되었다. 이 지역은 삼국시대 당시 고구려·백제·신라가 서로 차지하기 위해 다투던 전략적 요충지였다. 백제는 이 성에 핵심 군사력을 배치해 고구려의 남진을 막았으며, 4세기 근초고왕이 북진정책을 펼칠 때에는 북벌 군의 중심 요새로 삼았다. 고려 때인 11세기 현종이 거란의 침입을 피해 이 성에 태조의 재궁을 옮겼을 때 성의 중축이 있었다. 1232년에는 이곳에서 몽골군과 격전이 있었고, 1387년 성을 개축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 외침을 겪으면서 도성 외곽의 토성을 고쳐 쌓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래서 1711년 숙종의 명령으로 대대적인 축성 공사를 시작하여 돌로 쌓은 성벽을 완성하였다. 현재의 북한산성은 삼국시대의 토성이 약간 남아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조선 숙종 때 쌓은 것이다. 성곽의 여장(성위에 낮게 쌓은 담)은 무너졌으나, 성체는 대부분 보존되어 있다. 대서문을 비롯해 시설의 일부가 남아 있으며, 장대지, 행궁지 등도 보존되어 있다.

포인트빌

14.5 Km    1     2022-02-24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산로 473-90

약 만평의 규모와 북한산 국립공원 아래 위치해 나만의 힐링공간을 즐길 수 있다.

성북거리문화축제 <다다페스타>

14.5 Km    2     2024-08-14

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
02-6906-3106

2024 성북거리문화축제 <다다페스타>는 성북구의 거리와 그 거리문화를 특색있게 소개하고 즐길 수 있는 행사로 지역의 대학, 청년, 주민, 예술가, 다문화가정, 이주민 등 다양한 주체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지역밀착형 축제이다. 축제에서는 이국적인 음식들과 체험, 공연을 즐길 수 있으며, 지역청년예술가들의 작품과 굿즈를 볼 수 있는 아트마켓과 지역가게 협력을 통한 플리마켓도 함께 선보인다. 석관초등학교 앞의 거리 200m구간에서 진행되며, 축제의 마스코트로는 '돌이'와 '멩이'라는 캐릭터를 활용한 다양한 이벤트를 만나볼 수 있다.

봉화산(서울)

봉화산(서울)

14.5 Km    30630     2024-08-28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로21길

봉화산은 서울의 동북부 외곽인 중랑구 상봉동, 중화동, 묵동, 신내동에 접하여 있고 정상까지 높이는 160.1m로 평지에 돌출된 독립 구릉이다. 동쪽에 아차산 주 능선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북쪽으로 불암산, 도봉산과 양주 일대까지 잘 조망되며, 서쪽과 남쪽으로도 높은 산이 없어 남산과 이남 지역도 잘 보이는 지역이다. 봉화산은 일명 봉우재라고 불리는데 1963년 1월 1일 경기도에서 서울시로 편입되었다. 이곳은 북쪽 양주의 한이산에서 연락을 받아 목멱산(남산)으로 전달하는 아차산 봉수대가 있던 곳으로 지난 1994년 11월 7일 봉수대를 복원하였다. 봉화산의 주요 수종은 소나무이며, 기슭에는 먹골배로 유명한 배나무밭이 조성되어 있는데 점차 주변 지역으로 잠식되고 있다. 한편 봉화산 정상에서 약간 남쪽에 봉화산 도당인 산신각이 있으며, 약 400년 전에 주민들이 도당굿과 산신제를 지내던 곳이기도 하다. 현재 산신각은 1992년 여름에 일어난 화재로 소실되어 지금은 붉은 벽돌과 시멘트로 지은 새 건물이 들어서 있다. 해마다 음력 3월 3일에 산 정상 부근에 있는 산신각(도당)에서 서울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봉화산 도당제가 열린다.

공도동춘옥

공도동춘옥

14.5 Km    0     2024-03-04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 185 공도 동춘옥

공도 동춘옥은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고급 중화요리 전문점이다, 동구릉 옆에 있어 찾기 쉽다. 구리 IC에서 자동차로 6분 거리이고 버스를 타면 동구릉 버스 정거장에서 걸어서 1분 거리에 있다. 크고 작은 룸이 있어 다양한 식사 모임이나 회식에 좋고 식당 앞 주차 공간도 넉넉해서 편리하다. 다양한 코스요리를 가성비 좋은 구성으로 준비돼 있고 자장면, 짬뽕, 탕수육 등 기본 음식 맛도 좋다. 주변 가볼 만한 곳으로 다산 수변공원이 있고 도농 한강공원도 둘러볼 만하다.

참나무쟁이

14.5 Km    24792     2024-09-11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금강로 2458
031-531-7970

전통적인 조리법대로 차려지는 진지상은 죽과 물김치를 시작으로 구절판과 탕평채, 해파리냉채와 절에 맞는 생선회와 녹차 바비큐, 신선로, 홍어무침, 갈비찜, 꼬리찜, 된장찌개 등이 차려진다. 여기에 점심 메뉴로 낮것상과 진찬상, 수라상 등이 있다.

아차산봉수대터

아차산봉수대터

14.5 Km    19246     2023-10-18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

아차산 봉수대지는 함경도와 강원도 방면에서 남산 제1봉수로 연결되는 제1봉수의 말단으로 양주의 한이산에서 봉수를 받아 목멱산 (남산) 제1봉수로 전달해 주던 곳이다. 봉수는 대개 수십 리의 일정한 거리마다 후방의 요지가 되는 산꼭대기에 봉수대를 설치하고 밤에는 횃불, 낮에는 연기로써 외적이 침입하거나 난리가 일어났을 때에 나라의 위급한 소식을 중앙에 전달하던 제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봉수제가 시행되었던 것으로 추측되나 본격적인 국가제도로 확립된 것은 고려시대로 조선시대까지 이어져 세종 때에 체계적인 봉수제가 확립되어 전국적인 봉수망이 정비되었다. 이후 1894년 봉수제도가 전화통신체제로 바뀌게 되면서 봉수제도는 폐지되었다. 조선 시대의 문헌에 아차산 주봉에서 북쪽으로 벗어난 능선의 서쪽 봉우리에 있다고 표시되어 있어, 이곳이 아차산 봉수대터임이 밝혀졌고 터만 남아있던 것을 서울정도 600년 기념사업의 하나로 1994년 복원하였다. * 면적 - 4,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