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Km 2025-01-17
서울특별시 성동구 서울숲2길 8-8
라프레플루트는 서울지하철 2호선 뚝섬역 8번 출구 성수중학교 근처에 있다. 자가용 이용 시는 뚝섬 유수지 공영주차장에 주차할 수 있고,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매장의 테이블은 테라스 좌석까지 2인석 기준 9~10개 있고, 벽 쪽에 4명이 앉을 수 있는 자리가 있다. 과일 전문 카페답게 가게 앞자리에 과일을 전시해 두었다. 대표 메뉴로는 복숭아빙수, 애플망고빙수가 있고 그 외 냉동 과일을 사용하지 않고 제철 과일을 이용한 빙수와 음료 등을 판매한다. 인근에 성수동카페거리, 성수동구두테마공원, 서울숲, 뚝섬유원지 등이 있어 산책하며 둘러보기 좋다. ※ 반려동물 동반 가능
2.3Km 2024-07-04
서울특별시 성동구 서울숲4길 26-10
서울숲에 위치한 온량은 특급호텔 출신 요리사들이 운영하는 작은 양식당이다. 따뜻한 색감을 가진 조명 아래 목제 가구들이 조화를 이루고, 벽면에 빈티지하고 개성 있는 엽서나 포스터 사이즈의 이미지들이 붙여져 있다. 당일 준비되는 재료로만 음식을 만들며, 모든 소스와 음식은 홈메이드 스타일로 매장에서 직접 만들고 있다. 온량의 대표메뉴는 토마호크 포크 커틀렛이다. 최상급 국내산 돼지고기를 튀겨낸 시그니쳐 메뉴이다. 이외에도 고소하고 담백한 크림소스에 직접 끓인 토마토소스로 맛을 낸 스파이시 로제 파스타, 세 가지 버섯과 다진 소고기 안심, 네 가지 치즈로 맛을 낸 정통적인 콰트로 크림 리소토, 질 좋은 쇠고기와 양송이버섯으로 담백하게 맛을 낸 만조 크림 파스타, 동남아식 삼발소스로 맛을 낸 매콤한 나시고렝 쉬림프 필라프 등도 인기가 많은 메뉴이다.
2.3Km 2025-03-16
서울특별시 강남구 학동로 106
논현동 가구거리는 논현역 1번 출구에서 학동역 6번 출구까지의 가구 업체들이 밀집되어 있는 거리이다. 강남구 논현동(7호선 논현역과 학동역)의 교통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1970년부터 가구거리로 형성되어 현재 100여 가구 판매 업체 쇼룸이 밀집되어 있다. 가구 문화를 창조하고 선도하는 가구거리로 수십 년의 전통을 가지고 있는 세계적인 명소로 정착되었다. 논현동 가구거리를 방문하면 혼수용 가구, 공예 가구, 나전칠기, 부엌 가구, 사무용 가구, 인테리어, 수입 가구 등 가구의 모든 것을 한눈에 볼 수 있다. 강남구청에서 1996년 가구 문화 특화 거리로 지정하였으며 가구 문화를 창조하는 거리로서 고풍스러운 조명 등이 우리나라 가구의 1번지임을 돋보이게 하고 있다. 또한 2003년도에 소비자의 권익 보호와 건전한 상거래 질서를 확립하기 위하여 가격 표시 의무지역으로 지정하였다.
2.3Km 2024-01-23
서울특별시 성동구 서울숲4길 18-8
난포는 서울 성동구 성수동 서울숲역 인근 주택가 골목에 위치한 한식당이다. 단독주택 3층 건물 반지하에 자리하고 있으며, 건물 좌측에 별도로 난포로 출입할 수 있는 문이 있다. 이곳은 성수동에서 맛집으로 알려져 웨이팅이 길다. 방문하기 위해서는 우선 테이블링 앱에 원격 줄 서기를 해야 한다. 주문한 음식들이 세팅되면 눈으로 맛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정갈하고 색이 조화로운 음식들이 나온다. 대표 메뉴는 곰국, 제철회묵은지말이, 돌문어간장국, 새우감자전, 문어숙회 등이 유명하다.
2.3Km 2024-06-07
서울특별시 성동구 연무장7길 4 해피드림
소문난성수감자탕은 지하철 2호선 성수역 4번 출구 부근의 성수동 카페 거리에 있다. 성수동에서 40년간 한자리를 지켜온 오래된 맛집으로 잘 알려져 있다. 3층 건물 1층에 음식점이 있고 뒤편에 별관이 있다. 내부엔 모두 입식 테이블이 놓여있다. 방송사의 숨은 맛집을 찾는 프로그램에서 스타 셰프가 인정하는 음식점으로 소개되었고, 손님이 많아 대기하는 경우도 많다. 예약은 어렵고 포장은 할 수 있다. 포장 음식을 주문한 경우, 2시간 이내로 먹으라는 권고 문구가 있다. 주변에 서울숲이 있어 연계 관광이 가능하다.
2.3Km 2024-07-30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10길 6 서울숲비즈포레
유어네이키드치즈는 서울지하철 2호선 뚝섬역 7번 출구 인근에 있다. 주차는 매장이 있는 상가 빌딩에 할 수 있다. 매장 내부에는 20인 정도 앉을 수 있는 긴 원 테이블과 나란히 앉을 수 있는 사이드 테이블 세 개 정도 있다. 다양한 치즈를 더해 복합적인 맛을 내는 이곳은 와인과 함께했을 때 완벽히 어울릴만한 음식과 안주가 준비되어 있다. 대표 메뉴로는 러브미 치즈 플래터이다. 이 외에 뇨끼 까르보나라, 네이키드 샤퀴테리 플래터, 베이글 프렌치토스트 등 다양하고 특색 있는 메뉴들이 가득하다.
2.3Km 2024-07-04
서울특별시 성동구 서울숲4길 28
밸런스포케는 서울지하철 2호선 뚝섬역 8번 출구 성동구민종합체육센터 옆 주택가에 있다. 주차장은 따로 없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편이 좋다. 다이어트 샐러드 전문점인 이곳은 매장 외관부터 메뉴판까지 초록색으로 신선한 샐러드를 연상케 한다. 대표 메뉴로는 차돌포케, 하와이안 칠리 슈림프가 있다. 이외 연어포케, 참치포케, 수비드닭가슴살 포케, 두부포케, 참치 스테이크 등 다양한 샐러드가 있다. 주변에는 성수동카페거리, 성수동구두테마공원, 서울숲, 뚝섬유원지 등이 있어 가볍게 산책하며 둘러보기에 좋다.
2.3Km 2024-07-09
서울특별시 성동구 연무장5길 9-13
비건 베이커리도 함께 판매하고 있는 루프는 서울지하철 2호선 성수역 성수동구두테마공원 근처에 있다. 매장에 별도의 주차장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방문 시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곳 내부는 화이트톤으로 밝고 큰 통창이 시원함을 준다. 메뉴로는 아메리카노, 루프라테, 에스프레소, 라테, 바닐라라테, 카라멜마키아토 등 다양한 음료와 빵이 있다. 비건 빵이나 저당 빵, 그리고 일반적인 디저트류를 모두 판매해 선택의 폭이 넓다. 서울숲이 가까이에 있어 가볍게 산책할 수 있고, 성수동카페거리, 성수동구두테마공원, 뚝섬유원지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을 할 수 있다.
2.3Km 2024-05-30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이로 78
성수동의 랜드마크라 불리는 대림창고는 1970년대 정미소로 사용되었던 붉은 벽돌 건물이다. 정미소 건물을 최대한 유지하며 개조했기 때문에 빈티지한 분위기가 매력적이며, 젊은 커플들에게 많은 인기를 받고있다.
2.3Km 2025-03-16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100길 1
선릉(宣陵)은 조선 9대 성종(1457~1494)과 세 번째 왕비 정현왕후 윤씨(1462~1530)의 왕릉이다. 선릉은 같은 능역에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서로 다른 언덕에 능침을 조성한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의 형식이다.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 언덕(서쪽)이 성종, 오른쪽 언덕(동쪽)이 정현왕후의 능이다. 선릉은 1494년(성종 25) 성종이 세상을 떠나자 다음 해인 1495년(연산군 1) 광주 학당리인 현재의 자리에 조성하였다. 원래 이 자리는 4대 세종의 아들 광평대군묘역이 있던 자리였으나, 선릉이 조성되면서 광평대군묘역은 현 강남구 수서동으로 옮겼다. 이후 1530년(중종 25) 정현왕후가 세상을 떠나자 선릉 동쪽 언덕에 능을 조성하였다. 선릉은 정릉과 함께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왜적들이 능을 파헤쳐 재궁(梓宮)까지 불에 타는 피해를 당하여 1593년(선조 26) 7월에 다시 장례를 치렀다. 정릉(靖陵)은 조선 11대 중종(1488~1544)의 왕릉이다. 중종은 1544년에 세상을 떠나 다음 해인 1545년(인종 1) 두 번째 왕비 장경왕후의 희릉 서쪽 언덕(현 고양 서삼릉 내 철종의 예릉 자리)에 능을 조성하고 능의 이름을 희릉과 함께 정릉이라 하였다. 그러나 정릉은 1562년(명종 17) 세 번째 왕비 문정왕후에 의해 현재의 자리로 옮겼다. 문정왕후는 당시 봉은사 주지였던 보우와 논의하여 중종의 능을 이곳으로 옮겼는데, 이는 문정왕후 본인이 중종의 묻히기를 원해서였다. 그러나 옮긴 정릉이 지대가 낮아 비가 오면 침수되는 일이 자주 일어나자 문정왕후는 세상을 떠난 후 정릉이 아닌 현재 서울 노원구 태릉에 묻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중종과 세 왕비(단경왕후, 장경왕후, 문정왕후)의 능은 모두 따로 흩어지게 되었다. 정릉은 선릉과 마찬가지로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능이 파헤쳐져 재궁(梓宮)이 불에 타는 피해를 입었고, 1593년(선조 26) 8월에 다시 장례를 치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