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궁 전주본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궁 전주본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고궁 전주본점

고궁 전주본점

16.3Km    2025-04-21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송천중앙로 33
063-251-3211

50년 이상의 전통을 자랑하는 전주비빔밥 전문점이다. 비빔밥이 담아 나오는 그릇을 놋그릇과 돌솥 중에 선택해 주문할 수 있으며, 전주비빔밥의 핵심 재료인 황포묵을 무침 요리로 만들어 판매한다. 2층에 전주비빔밥의 역사를 설명해 놓은 전시실도 운영하고 있다.

승방원(승방서원)

16.3Km    2024-11-05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아리랑로 1832-21

서원은 훌륭한 유학자의 제사를 지내고 지역민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조선시대 지방의 사립 교육기관이다. 김제시가지에서 북쪽으로 자동차 기준 10분 정도 거리에 있는 승방원은 승방서원이라고도 한다. 이곳은 1856년(철종 7) 동래정씨가 세운 사당이다. 승방원에서는 김제 출신인 양헌 정인, 풍천 정수홍 등 동래정씨들을 모시고 있다. 그 외에도 국촌 최철, 벽성 박요 등 정 씨뿐만 아니라 그 넋을 기리고 본받을 만한 여러 선현도 배향하고 있다. 정인은 고려 말기 무신으로 여진과 왜구를 격퇴한 인물이다. 정수홍은 조선 초 태종 때 대사간과 세종 때 이조판서를 지냈다. 최철은 고려 말기 사람으로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자 초야로 숨어 절개를 지켰다. 박요는 조선 중기 중종 때 사람으로 성리학의 번성을 위해 노력했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형태의 사당과 서원의 기능을 담당하는 강당이 있다. 주변에는 지평선생태수목공원, 백산저수지 등이 있어 연계하여 관광할 수 있다.

바람약과

바람약과

16.3Km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신복6길 23-1

바람약과는 전주시와 글로우서울이 함께한 도시 재생 프로젝트 ‘MBC 빈집살래3’의 매장으로 16종의 약과를 정갈한 만듦새로 선보이는 약과 전문점이다. 진짜 단호박을 넣어 만든 단호박 반죽과 필링이 가득한 남해 단호박약과, 전주 계란약과, 익산 자색고구마약과 등 각 지역의 맛을 고스란히 담았으며, 깔끔한 티와 함께 계란커피, 버터커피 등 풍미 있는 커피 메뉴도 준비되어 있다.

아리랑하우스

16.3Km    2024-10-15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한배미1길 29
063-241-9300

‘아리랑하우스’는 1991년에 개업한 이래 오직 한 살 한우 암소 원플러스와 투플러스만을 사용함으로써 최상의 쇠고기만을 엄선하고 취급한다. 이곳에서는 질 좋은 한우 고기와 전골, 갈비탕 등을 맛볼 수 있다. 고기의 질이 좋기로 소문이 나 있으며, 특별한 선별 방법을 통해 암소 중에서도 1등급 만을 사용한다. 갈비전골은 한우 암소의 갈빗살만 저며 내어 국물을 부어 끓여내는 전주식 갈비요리, 비빔밥, 육회 등을 제공한다. 인후동 석불입상, 한옥마을, 경기전, 풍남문, 전주동물원, 전주명품관 등이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어 주변 경관을 즐기기에나 명소를 찾기에도 좋은 위치에 있다.

김제 문화유산 야행

김제 문화유산 야행

16.4Km    2024-08-27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동헌4길 46-1 (교동)
063-540-3517

2024년 김제 문화유산 야행은 9월 13일부터 9월 14일까지 2일간 개최된다. 조선시대 교육기관과 행정기관이 함께 보존되어 온 사적 '김제군 관아와 향교'에서 '징게맹갱 이애기'라는 주제로 진행된다. 소설 '아리랑'의 주 배경이 된 징게맹갱 외에밋들 김제, 한반도의 곡창지대라 불리는 전라북도 김제의 아픈 역사를 지니고 있다. 금빛이 시작되는 가을 밤, 아픈 역사 속에서도 김제의 국가유산을 보존하며 지켜온 얼을 아름다운 달빛 아래 담아내고자 한다.

연화정 도서관

연화정 도서관

16.4Km    2024-10-25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권삼득로 390-1 (덕진동1가)

연화정 도서관은 전주시립도서관 직영 도서관으로 전주 덕진공원 안에 자리하였으며 2022년 6월에 개관하였다. 덕진공원 연못 한가운데 한옥으로 지어진 연화정 도서관은 아름다운 외관과 함께 여름이면 연못을 가득 메우는 연잎과 연꽃이 어우러져 많은 사람이 찾는 명소가 되었다. 덕진 공원에서 도서관까지 가는 길에는 곳곳에 포토존이 마련되어 있어 아름다운 연못을 배경으로 사진을 남길 수 있다. 일제강점기 뱃놀이 보트를 띄우는 공원으로 조성되면서 유원지가 된 덕진공원의 대표적인 건축물이었던 연화정은 재건축의 과정을 거쳐 도서관으로 재단장하게 되었다. 새로 지은 연화정은 ㄱ자 형태의 단층 건물로 한쪽은 도서관 공간인 [연화당]이고, 다른 한쪽은 문화공간이나 쉼터 역할을 하는 누각인 [연화루]가 있다. 연화루에는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담은 도서관답게 한국의 미와 전주의 정체성을 담은 다양한 도서들이 비치되어 있다. 또한 연화루에서는 가벼운 담소를 나누기 편안한 공간이다. 연화정 도서관은 독서뿐만 아니라 한옥 도서관을 일부러 찾은 여행객부터 산책 삼아 나온 지역민들과 아이들, 연못의 정경을 함께 감상하는 독서가들이 자유로운 분위기를 만들어 가고 있는 곳이다.

전주 연화정 도서관

전주 연화정 도서관

16.4Km    2024-11-05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권삼득로 390-1 (덕진동1가)

연화정도서관은 덕진연못 가운데에 지어진 한옥도서관이다. 연면적 393㎡의 연화당과 누각 연화루로 구성되어 있다.

수운정

수운정

16.4Km    2025-03-11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신덕면 금정길 62-5

수운정(睡雲亭)은 조선 철종 13년(1862) 4월에 이곳 금정리에 살던 경주김씨 수운(睡雲) 김낙현(金樂顯)이란 사람이 세운 것이다. 앞면 3칸·옆면 1칸 규모로 지붕은 옆모습이 여덟 팔(八) 자 모양과 비슷한 팔작지붕이다. 김낙현은 경주김씨 계림군 김균의 15대손으로 성운(星運), 성홍(星弘), 성철(星徹) 등 아들 셋을 두어 행복한 가정을 꾸려오던 중 성운·성홍 두 아들이 죽게 되자 그 슬픔을 금할 길 없어 산수를 벗 삼고 소요하고자 시냇가 양지바른 곳에 터를 닦아서 세웠다고 한다. 한편 경주김씨가 이곳 금정리에 이거한 것은 계림군 김균의 9대손인 김재오(金載五)가 삼계면 석문동에서 이곳으로 이거한 이후 여러 대에 걸쳐 세거하고 있다. 이후에 행객들이 이곳을 찾고 수려한 자연을 벗 삼아 글을 지으면서 교류하였고, 그 글귀가 현판으로 걸려있다. 6ㆍ25 당시 마을이 모두 소실되었으나 수운정만은 소실되지 않고 보호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일제 치하에 있을 때 일본인들이 몇 개의 현판을 떼어갔다고 한다. (출처 : 국가유산청)

김제동헌

16.4Km    2025-04-08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동헌4길 46-1

전라북도 김제시 교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관아로 전라북도유형문화재이다. 현종 8년(1667)에 외아와 함께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숙종 25년(1699)에 수리한 것으로 전해진다. 여러 차례의 수리와 개축을 거쳐 최근 원형에 가깝게 복원되었다. 원래는 안채, 안행랑채, 안측간 등의 건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안채만이 복원되어 있다. ㄷ자형의 평면으로 조선시대 일반적인 중, 상류 계층의 주택건축과 거의 차이가 없다. 다만 대청마루 등에 굵은 두리기둥을 사용하고 있는 점이 일반 민가보다는 격식을 차리고 있는 점으로 두드러진다. 한단의 낮은 기단 위에 자연석 주초를 놓고, 네모기둥과 두리기둥을 섞어서 세웠으며 홑처마의 소로수장집이다. 거의 모든 주간(柱間)에 두 짝의 세살문을 달았다. 전체적으로 간결한 외관을 갖추었으며, 동헌의 내아 건물로는 얼마 남아 있지 않은 유구 중의 하나이다. 내아의 바로 앞 남쪽에 외아가 있다. 앞면 7칸, 옆면 4칸 규모이며,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가운데의 오른쪽 6칸에 대청이 있고 왼쪽 4칸은 온돌방이다. 외벽은 사방 전체에 같은 형태의 문이 달려있으며, 앞면 가운데 1칸과 뒷면 왼쪽에 출입문을 달았다. 전체적으로 간결하면서도 앞면을 7칸으로 꾸며 위엄 있는 건축형태를 갖추고 있어 조선시대 관아건축의 성격을 잘 나타내고 있다.

철기와전

철기와전

16.4Km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신복7길 8-1

철기와전은 요리경력 20년에 달하는 한식 전문가의 손맛이 담긴 ‘전’을 보다 다채롭게 즐길 수 있는 ‘전 코스’ 요리집이다. 한식 전문가가 직접 매장에 상주 및 운영하며 만든 맛깔스러운 전들을 ‘이바지 세트’라는 이름으로 내드리고 있으며, 이런 ‘이바지 세트’는 7종 코스와 5종 코스로 즐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