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크호텔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라이크호텔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라이크호텔

12.6Km    2024-07-31

광주광역시 동구 무등로321번길 20-5 (계림동)
010-4092-3652

광주광역시 동구 계림동에 위치한 라이크호텔은 쾌적하고 넓은 방, 합리적인 가격으로 여행객은 물론 비즈니스 출장객에게도 인기가 좋다. 객실에서 75인치 TV로 넥플릭스나 디즈니플러스를 시청할 수 있고, 호실에 따라 스타일러나 PC도 구비되어 있다. 1층 라운지에는 전자페인지, 캡슐커피머신, 얼음, 식빵, 토스트기, 잼이 준비되어 있어 언제든지 이용 가능하다. 도보 2~3분 거리에 편의점이 있고, 인근에 푸른숲길 산책로가 있다.

서부농수산물도매시장

12.7Km    2024-05-27

광주광역시 서구 매월2로 16

광주 서부농수산물도매시장은 2004년 4월 개장하여 일일 1,500t 규모의 농수산물을 거래할 수 있는 호남 최대의 도매시장이다. 광주광역시 제2순환 도로와 서광주 역이 근접한 교통 요충지에 자리 잡고 있으며 물류 집적화 단지 및 산업용재 유통센터 등과 인접해 있어 농수축산물과 공산품을 동시에 구입할 수 있는 원스톱 쇼핑이 가능하다. 특히 도매시장 내에 농수산물검사소를 24시간 운영하고 있으며, 도매시장에 반입된 농수산물을 수시로 검사하여 부적합 농수산물이 유통되지 않도록 사전에 차단하고 있어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농수산물을 도매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

광주 평촌마을

광주 평촌마을

12.7Km    2025-03-20

광주광역시 북구 평촌길 15

평촌마을은 무등산 북쪽 자락에 자리하고 있는 동림, 담안, 우성, 닭뫼 4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된 아담하고 한적한 농촌마을이다. 마을 들녘에는 평무뜰이 있어 친환경 우렁이쌀을 재배하고 있으며, 마을 중심으로 흐르는 풍암천에는 도심에서는 이미 자취가 사라진 반딧불이와 무등산의 깃대종인 수달(천연기념물)이 서식하고 있어 우수한 자연생태를 지니고 있는 지역이다. 조선시대에는 이곳 평촌마을이 분청사기를 만들었던 곳으로 남도의 예술적 혼을 지니고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현재 마을에 있는 평촌 도예공방이 그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마을 길목에는 무돌길 쉼터와 반디민박이 있어 마을을 지나는 이들과 무등산을 찾는 탐방객들에게 편안한 휴식처가 되고 있다.

테스팅노트

테스팅노트

12.7Km    2024-12-19

광주광역시 서구 군분로159번길 13
010-4900-9421

남녀노소 누구나 맛있고, 저렴하고, 건강한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점이며 새로운 음식을 만들어내고자 testing note 라는 상호명을 사용하게 되었다. 건강한 음식을 만들기 위하여, 화학조미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육수부터 모든 소스류를 손수 만들어서, 깔끔하면서도 자극적이지 않은 요리들을 선사한다. 또한, 메뉴 수정등 변화를 주기위해 노력하고 있다. 재료들은 신선함을 유지하기위해 수시로 구입하여 사용하고, 유기농 쌀을 사용하고 있다.

독상리석등

독상리석등

12.7Km    2025-03-19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독상리 석등은 고려 시대 시중을 지낸 문헌공 오대승이 하늘에 제사하기 위해 제작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현리 오대승이 관도 남쪽에 석등 48개를 만들어 밤마다 불을 켜 놓고 하늘에 절하였더니, 그 내외의 자손들이 모두 출세하고 계속하여 상부에 올랐다고 기록되어 있다. 독상리 석등은 높이 40㎝, 길이 164㎝, 너비 105㎝의 암반에 구멍을 파서 만든 것으로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비각의 홍살문 안에 있다. 구멍은 약간 손질을 가한 자연 암반 위에 지름 5~14㎝, 깊이 2.5~8㎝ 정도 되는 크기로 48개(실제로는 54개)이며, 이 구멍에 기름을 붓고 심지에 불을 켰던 것으로 보인다. 구멍 수인 48개 즉, 48등은 불교에서 말하는 48원을 의미한 것이다. 48원은 불교의 아미타불의 최고의 이상인 극락정토이다. 즉, 생로병사가 없는 안락한 정토(부처가 사는 세계)라는 뜻이다. 이러한 것으로 보아, 독상리 석등은 고려 시대 민간신앙이 불교와 합치되어 나타난 현상의 한 예라 할 수 있다.

우남식당

우남식당

12.8Km    2025-01-06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남평2로 50-12

50년 역사의 노포로 방송에도 여러 차례 소개되었을 만큼 탕수육, 짬뽕 맛으로 유명한 집이다. 고령의 할머님이 혼자 만드셔서 시간이 오래 걸려도 양해 부탁한다는 내부의 안내 멘트에서 오히려 노포에서만 가질 수 있는 두근거리는 기다림의 즐거움이 생긴다. 바싹하게 튀겨진 탕수육과 옛 맛 가득한 새콤달콤한 소스의 조화는 잃어버린 향수를 자극하고, 신선한 해산물이 가득 들어간 짬뽕은 국물에서 느껴지는 칼칼하고 매콤한 맛이 일품이다. 탕수육과 짬뽕을 맛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기다림이 지루하지 않은 노포와의 만남, 한 번은 꼭 들러봐야 할 나주의 맛집이다.

필문 이선제부조묘

필문 이선제부조묘

12.8Km    2025-03-21

광주광역시 남구 구만산길 34

조선초의 이선제(李先齊, 1389~1454)를 모신 사당이다. 부조묘(不祖廟)는 나라에 특별한 공훈을 세운 사람을 기려 그 신주(神主)를 영원히 모시도록 건립한 사당을 말한다. 원래 포충사 뒤쪽에 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겨왔다. 이선제는 권근(權近)에게 학문을 익혀 벼슬길에 올라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고,「태종실록(太宗實錄)」과「고려사(高麗史)」의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고향에 돌아와 후진 양성과 함께 향약(鄕約)을 시행하여 향촌풍속을 순화하였다. 뒷산 언덕에 필문의 묘와 묘비가 있으며, 마을입구 도로변에 그의 신도비(神道碑)가 있다. 마을 앞에는 필문이 심었다고 하는 600년쯤 된 왕버들이 있다. (출처 : 국가유산청)

호텔여기어때 광주역점

호텔여기어때 광주역점

12.8Km    2024-11-26

광주광역시 북구 중흥로140번길 19 (중흥동)
062-514-1988

호텔 여기 어때 광주역점은 광주 북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광주역 도보 3분 거리, NC백화점 도보 1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전 객실에 스타일러 비치(좋은 방 제외), 전 객실 고데기 및 드라이기, 라텍스 매트리스, 최신형 PC 등 광주 북구 최고의 시설을 자랑하는 신축호텔이다.

화순동복남덕원비

12.9Km    2024-06-03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독상리

남덕원은 고려, 조선 시대에 출장 중인 관리들의 숙박 장소로 이용하고, 공문 송달이나 물류 수송을 지원하기 위하여 국가에서 설치한 기관이다. 동복 현감 심지헌이 주도하여 현종 9년(1668)에 건립하였다. 남덕원은 독상리의 금계산 기슭에 있었던 역원으로 인근 한천리에 검부역이 생기면서 폐지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검부역이 언제 설치되었는지 확인되지 않고 있어 남덕원의 폐지연대도 추정할 수 없다. 비석은 거친 사암질 자연석이고 비문은 8행으로 새겨져 있다. 비문 내용 중 심지헌 이란 인물이 있어 확인 결과 그는 동복현감을 지냈는데 1666년 9월에 부임하여 1668년 7월에 이임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비석의 건립연대 또한 무신년 3월인데 이임하기 전 심지헌이 세운 것으로 보인다. 남덕원비의 문화재적 가치는 조선시대 교통시설이자 공공기관이었던 역원에 대한 유일한 비이며 동복현의 역사와 관련시켜 살펴보면 충분한 역사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17세기에 걸친 자연석에 새겨진 행서체라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한천농악전수회관

한천농악전수회관

12.9Km    2025-03-19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김삿갓로 720

한천농악전수회관은 한천 농악의 전수교육과 공연 등을 통해 무형 유산인 한천 농악을 보존, 전승하는 공간이다. 1996년 준공된 지상 2층의 1동 건물로, 숙소와 연습실을 갖추고 있다. 20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한천농악은 일반적인 마을의 농악의 경우처럼 마을 내에서 당산굿을 하고, 마당밟이를 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역대 상쇠(꽹과리를 치면서 전체를 지휘하는 사람)들의 활동상을 점검해 보면, 1950~60년대에 농악을 매개로 주변 마을과 경쟁하고, 유명 상쇠의 영향을 받아 체계를 갖춰간 사실이 확인된다. 당시 독상리에 살던 이선일 씨가 가장 뛰어난 상쇠로 이름을 날렸고, 그가 한천마을로 이주해 오면서 비로소 한천 농악이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 1950년대 농악계를 조직하여 활동하고, 1960~70년대 왕성한 공연 활동을 하면서 외부에 알려지게 되었다. 특히 1964년 전국민속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뒤 널리 알려졌으며, 이후 1979년 전라남도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