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국가유산야행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광주국가유산야행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광주국가유산야행

광주국가유산야행

522.8M    2025-03-18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 38 (광산동)
062-608-2403

광주 역사의 중심인 동구의 국가유산과 광주의 역사를 달빛 아래에서 만나보는 ‘광주 국가유산 야행’은 지역의 국가유산과 주변의 문화시설을 연계하여 다양한 역사문화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야간향유형 국가유산 테마 관광축제이다. 8야(夜)로 구성된 광주 국가유산 야행은 야경(야간경관), 야로(역사투어), 야사(체험), 야화(전시), 야설(공연), 야식(음식), 야식(장터), 야숙(숙박)을 통해 동구의 국가유산을 다채롭게 즐길 수 있다.

2024 아시아컬처마켓: 도시 속 문화장터

2024 아시아컬처마켓: 도시 속 문화장터

522.8M    2024-04-30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 38 아시아문화전당
062-601-4665

2024 아시아컬처마켓은 다양하고 풍부한 아시아 문화의 상호작용을 경험할 수 있는 행사이다. 여러 체험과 공예품을 통해 아시아의 아름다움과 다양성을 체험할 수 있다. 더불어 아시아를 담은 다채로운 공연과 이벤트를 통해 아시아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참여자 간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제3회 ACCF 애니메이션 모꼬지 찾아라! 애니메이션 친구들

제3회 ACCF 애니메이션 모꼬지 찾아라! 애니메이션 친구들

522.8M    2024-07-25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 38 (광산동)
062-601-4665

국내외 우수한 애니메이션을 한 곳에서 즐기고 체험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모꼬지가 펼쳐진다. 올해로 3회를 맞이하는 애니메이션 모꼬지는 남녀노소 누구나 사랑하는 애니메이션을 관람객 여러분께 선보이는 쇼케이스 행사이다. 애니메이션을 사랑하는 많은 관람객이 방문하여 행사를 즐겼고,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은 조기 매진되는 등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이러한 성원에 힘입어 올해 개최되는 애니메이션 모꼬지는 더욱 풍성하고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여러분을 찾아간다.

카페크라운

522.8M    2024-12-26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 38 (광산동)

카페 크라운은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에 위치한 비건 디저트 전문 카페다. 우유, 버터, 달걀 등 동물성 재료를 일절 사용하지 않고 쌀가루, 두유 등 식물성 재료만을 사용하여 만든 다양한 종류의 디저트를 맛볼 수 있다. 또한 계절에 따라 새로운 비건 디저트를 선보여 방문할 때마다 새로운 맛을 경험할 수 있다는 특별함이 있다.

카페진정성

카페진정성

522.8M    2024-12-26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 38 (광산동)

카페 진정성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내에 위치하여 탁 트인 공원과 함께 조용하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여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장소이다. 밀크티로 유명해 방문하면 다양한 종류의 밀크티를 맛볼 수 있다.

광주극장

광주극장

525.8M    2025-03-20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46번길 10 (충장로5가)

광주극장은 1935년에 시작하여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는 광주의 예술&독립영화관이다. 국내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스크린이 하나뿐인 단관 극장이다. 광주극장은 일본인 관주 구로세 도요다가 일본인의 거리였던 충장로 1가에 세운 제국관과 달리 포목, 고무신 그리고 미곡 등 생활 필수 품목이 판매되던 충장로 4가와 5가의 조선인 거리에 자리를 잡았다. 조선인을 위한 판소리와 창극으로 구성되었으나 조선인 전용으로 운영하기엔 지역 흥행 시장 규모가 작아 일본 영화사 작품도 상영했다. 광주극장의 등장은 일제강점기의 조선인의 민족주의 열망과 영화 산업의 확대에 따른 결과물이었다. 현재는 독립영화와 예술영화를 상영하는 예술영화전용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빛고을시민문화관

빛고을시민문화관

526.9M    2025-03-21

광주광역시 남구 천변좌로338번길 7

빛고을시민문화관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의 새로운 복합문화시설로서 시민 정서 함양과 지역 문화예술의 창달을 위해 시민본위의 공연·전시, 쾌적하고 친숙한 문화예술공간 제공에 중점을 두고 운영하고 있다. 옛 구동체육관 부지에 2008년 11월 착공해 2010년 2월에 개관했다. 지하 2층, 지상 4층, 연면적 14,049㎡ 규모이며, 공연장(715석), 전시실, 다목적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지역 주민들을 위한 공연·전시 등 각종 문화행사와 각종 문화강좌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된다.

한국-캐나다 협업 전시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캐나다 파빌리온: 집 그리고 또 다른 장소들>

527.7M    2024-09-03

광주광역시 남구 제중로 70 (양림동)

‘한국-캐나다 상호문화교류의 해’를 기념해 양국이 협력하는 전시 프로젝트가 ‘제 15회 광주 비엔날레’에서 공개된다. <캐나다 파빌리온: 고향과 집 그리고 또 다른 장소들 (Canadian Pavilion: Home and Other Places)>은 광주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이선 큐레이터와 세 명의 한국인 작가들, 그리고 캐나다의 북극 킨가이트(Kinngait) 지역에서 활동하는 여섯 명의 이누이트 작가들이 협업에 참여했다. 예술가들이 각자의 고향을 소재로 어디에서 살고 어떻게 작업할지에 대한 고민을 나누고, 토론과 공동 창작을 통해 작품의 최종적인 형태를 구현한다는 점에서 더욱 흥미롭다. 캐나다 이누이트 아티스트들이 제작한 대형 벽화 작품에 한국 아티스트가 광주 현장에서 색채와 조형 요소로 개입해 공간에 맞게 설치물에 창작을 더하는 작업 방식은 최초의 ‘현장 맞춤형 협업’으로 전시에 독특함을 더한다. 이번 시각예술 협업 프로젝트는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의 <2024 쌍방향 국제문화협업 지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다.

양림미술관

양림미술관

527.7M    2025-03-20

광주광역시 남구 제중로 70 (양림동)

광주광역시 남구청에서 관리하는 미술관이다. 양림미술관이라는 이름은 근대 역사 문화 중심인 양림동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건물은 한옥 형태이며 지하와 지상에 각 1층씩 전시실이 운영되고 있다. 주민과 작가가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는 문화예술 공간이다. 대관을 원하는 경우에는 남구청에 문의하여 대관할 수 있다.

광주공원

광주공원

531.1M    2025-03-21

광주광역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15

광주공원은 광주시의 제1호 도시공원으로 시민들이 즐겨 찾는 휴식공간으로 현충각과 광주시립 박물관, 시민관 등이 자리하고 있다. 광주공원은 전통과 근현대가 공존하는 공간이다. 산자락에 조선시대에 세워진 향교가 있고, 향교 입구 옆으로 광주목사 선정비군이 있다. 광주공원에는 4·19 의거 희생영령추모비, 1971년 건립된 시민회관, 현충탑 등이 있다. 현충탑을 중심으로 한 공터는 휴식처로 애용된다. 광주공원은 장수의 상징인 거북이 형상을 하고 있다. 각종 수목과 화초를 이용한 조경이 잘 되어 있으며, 매년 4월 중순이면 벚꽃이 만발한다. 주변에는 사직공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양동시장 등이 있으며, 공원 앞으로는 광주천이 흐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