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2Km 2025-03-10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진위로 181-82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만기사에 있는 평택 만기사 철조여래좌상은 전형적인 고려시대의 불상양식을 나타내고 있다. 불상을 받치는 대좌는 없고 불신만 남아 있는 상태이며, 오른팔과 양손은 새로 만들어 끼운 것이고 원래의 것은 절 안에 따로 보관되어 있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근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가 큼직하게 있다. 갸름한 얼굴의 세부표현은 분명하고 목에는 3줄의 삼도가 뚜렷하게 표현되어 있다. 옷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어깨에만 걸치고 있으며, 어깨는 거의 수평을 이루면서 넓은 편이다. 어깨 부분에서는 크게 접어 계단식의 주름을 만들었고, 팔과 다리 부분에도 주름을 표현하였는데 매우 형식적이다. 오른손은 무릎 위에 올려 손끝이 땅을 향하고 있으며 왼손은 배 부분에 놓고 있는 모습이다. 상체가 약간 긴 편이나 전체적으로 비례가 알맞은 편이어서 안정감이 있다. 당당한 형태이지만 도식적인 옷주름의 표현과 단정해진 얼굴 등에서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17.2Km 2025-07-31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길음2길 41-11
스페이스길은 안성천을 바라보며 힐링할 수 있는 테라스 카페이다. 1층의 오픈형 폴딩도어를 열면 막힘없이 시원한 전망을 감상할 수 있다. 2층은 내부 공간과 별도로 넓은 테라스가 있어 탁 트인 전망으로 안성천을 한눈에 담을 수 있다. 3층 역시 루프탑으로 빈백에 앉아 주변 경관을 넓게 조망할 수 있다. 또한 3층에는 천국의 계단으로 불리는 사진 찍기 명소가 있다. 반려동물을 동반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정원에 마련되어 있다.
17.2Km 2025-05-12
경기도 화성시 노작로 226-26
화성에 위치한 노작공원은 자연과 문화의 조화로운 공간으로 매력적인 분수와 평화로운 자연환경이 어우러진 곳이다. 노작공원의 명칭은 홍사용 시인의 호 [노작]을 따서 지었다. 노작공원에 있는 음악분수는 잔잔한 음악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공연을 선사하는데 밤에는 은은한 조명과 함께 더욱 화려한 분수쇼를 감상할 수 있다. 맑은 공기와 아름다운 자연환경으로 힐링과 산책하기 좋은 이곳은 평화로운 숲길을 따라 걷거나 공원 안에서 꽃과 나무들과 함께 자연의 속삭임을 만끽할 수 있다. 공원 내에 있는 습지원은 사이를 걸을 수 있도록 데크로드가 잘 조성되어 있고, 탄성코트로 조성된 산책로가 있어 산책은 물론이고 러닝을 하기에도 좋다. 또한 노작공원의 넓은 잔디밭은 공원 내에서 휴식과 즐거움을 동시에 제공하는 매력적인 공간으로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즐기고 마음껏 뛰어놀 수 있다. 노작공원에는 또한 무더운 여름을 시원하게 즐길 수 있는 물놀이장이 따로 마련되어 있다. 여름 시즌 물놀이장이 개장하면 근처에 남녀 탈의실도 마련되고, 물놀이를 한 후 샤워 및 화장실 시설이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주변으로 노작쉼터와 노작마을, 오산천 산책로가 함께 있어 둘러볼 수 있고, 반석산 에코벨트를 조성해 놔서 둘레길을 걸으며 건강을 챙길 수 있다.
17.2Km 2025-01-10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진위로 181-82
만기사는 행정구역상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에 있다. 도시에서 멀지 않고 교통도 편리한 반면 아늑하게 감싼 산과 절 앞쪽 멀리에서 동서로 흐르고 있는 진위천, 그리고 주변에 넓게 펼쳐진 들과 그 너머 보이는 산들은 한적한 시골풍경을 자아낸다. 절 앞쪽의 진위천은 많은 낚시꾼들이 찾는 곳이다. 또한 절에서 멀지 않은 곳에 진위향교가 위치하여 만기사의 철불과 함께 우리 문화의 향기를 느끼기에 충분한 곳이기도 하다. 평택을 연결하는 1번 국도에서 가까운 곳으로 산속이라고는 하지만 도시에서 적당히 떨어진 곳으로 교통이 편리해 숲 속의 여유로움과 아늑한 사찰의 풍경을 만끽하기에 좋은 곳이다. 고려시대에 창건되었다고는 하지만 그 흔적만 남아있을 뿐 가람을 최근의 중건불사로 현대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산기슭 나지막한 비탈면을 이용해 상중하 세 단으로 대지를 조성한 터전 위에 위계에 맞추어 여유롭게 전각과 당우를 배치하고 있는 만기사는 상쾌함을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더욱이 주불전인 대웅전 안에는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철조여래좌상(보물)이 있어 절의 품격을 높여주고 있다. 이 철불은 고려시대의 전형적인 철불 양식을 지니고 있어 고려시대 불상의 숨결을 느끼면서 신심(信心)을 고양하기에 더할 나위 없이 편안한 마음을 느끼게 한다. 또 이곳은 세조가 지나다 수레를 멈추고 우물을 마셔보고 “이 우물은 감천(甘泉)이니 감로천(甘露泉)이라고 하라”라고 했다는 말이 전해져 오고 있다. 현재의 절은 그 당시의 절과는 좀 떨어져 새로이 조성되었지만 현재 절 아래에 있는 약수터에는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물을 길어가고 있다.
17.2Km 2025-05-29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수원로594번길 139 (입북동)
한우이야기는 수원시 권선구에 위치한 정육식당이다. 푸짐한 양과 신선한 고기를 맛볼 수 있다. 이곳은 국내산 한우만 사용하며, 최소 1등급 이하 한우는 판매하지 않는다. 또한, 한우목장 영인목장(화성시 소재)을 직접 운영하여 유통마진 없이 고기를 제공하고 있다. 주인이 직접 새벽 5시부터 끓이는 한우 갈비탕은 깊은 국물 맛을 자랑한다.
17.3Km 2025-03-31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매송북길 282
031-296-5751
신촌낚시터는 칠보산 기슭의 맑은 물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저수지로서 주변에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아늑하며, 서울에서 약 40분 거리로 교통이 편리하여 당일코스로 도시민이 휴식처 및 가족단위 휴식공간으로 찾으며 아울러 자연과 잘 어우러진 낚시터로 어린이 자연학습 장소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다양한 어종의 손맛을 느낄 수 있으며 직접 살아 숨 쉬는 입질의 현장을 느낄 수 있다.
17.3Km 2024-10-23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154
031-324-9114~5
2024년 국립농업박물관 문화제 <무르익다>가 10월 15일부터 27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행사는 곡식이 무르익어 풍요로운 가을을 맞이하고, 콩이 발효되어 장이 되듯이 박물관의 전시와 행사도 무르익어 관람객을 맞이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가족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전시, 체험, 교육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무료이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하반기 기획전 ‘기다림의 맛, 시_간’ 개막, 시민과 함께하는 전통 벼베기 체험, 기획전과 연계한 심포지엄 <장醬, 가장 맛있는 농업>, 거창의 농촌·농업을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거창데이’ 등이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