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Km 2025-03-26
전라남도 목포시 외달도길 47-17
외달도 해수욕장은 1928년 개장된 해수욕장으로 깨끗한 바다, 고운 모래 백사장과 건너편 조그마한 별섬이 인상적인 아름다운 해수욕장이다. 목포에서 서쪽으로 6㎞ 떨어진 외달도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경관이 아름답다. 해수욕장 인근에는 심해의 맑은 바닷물을 끌어 조성한 인공 해수풀장 및 물놀이 시설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어 가족단위 관광객들이 방문하기에 더욱 좋다. 외달도는 청정해역의 자연 그대로 간직하고, 주변의 크고 작은 섬들의 다도해의 아름다운 풍광과 아늑함이 느껴지며, 낙조가 아름다워 특히 연인들에게 인기가 있는 섬으로 ‘사랑의 섬’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6.0Km 2024-05-24
전라남도 목포시 산정로 174
목포의 동부시장은 점포 수 375개로 목포에서 가장 큰 시장으로 1956년부터 노점상들이 하나, 둘 모여 시장을 형성하면서 지금의 규모를 갖춘 60년 전통을 자랑하는 시장이다. 2006년부터 2008년의 공사를 거쳐 558m의 아케이드를 시설하여 재래시장의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편의성을 높이고 전국 온누리 상품권을 발행하여 고객층의 다양화를 시도하는 등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시장이다. 시설 면에서도 넓은 주차장과 화장실 등 편의시설에 신경을 써 대형마트의 편리함과 시장의 정을 함께 느낄 수 있다. 또한, 동부시장은 시장 활성화를 위해 전문 인력인 '시장 매니저'를 도입한다. 동부시장은 재래시장답게 싱싱한 과일류와 채소류, 생선 등을 판매한다. 특히, 동부시장은 식육류가 유명하며, 수산물, 건어물, 건강식품, 의류, 화장품, 잡화 등 구색이 모두 갖추어져 있다.
6.0Km 2025-03-26
전라남도 목포시 원산중앙로 51
목포신중앙시장 061-273-1733
목포시청 관광경제 061-270-8087
신중앙시장은 임시시장으로 개장한지 10년여 만에「재래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의한 전통시장(인정시장)으로 등록되어 제도권에 진입함으로써 시장 활성화의 길이 열렸다. 이후 타 전통시장처럼 먹거리와 특산품을 보완해왔고, 의류가 주를 이루는 시장으로 알려져 있다.
6.2Km 2025-04-02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천사로 13
압해도는 목포시와 가장 가까운 섬으로 압해도선착장은 목포 북항과 마주하여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신안의 크고 작은 섬으로 선상낚시를 떠나는 출발지로 유명하다. 선착장 인근에 식당과 낚시전문점, 화장실 등이 자리하고 있다. 이 선착장에서 낚싯배와 어선 모두를 볼 수 있고, 선착장은 낚시를 온 차량으로 늘 북적인다. 또한 바닷가에서 소풍을 즐기거나 바다를 보며 달릴 수 있어 드라이브 코스로도 좋다. 마주한 유달산, 목포 북항과 목포대교까지 한눈에 감상할 수 있고 밤 풍경이 멋져 야경 명소로도 유명하다.
6.4Km 2022-11-11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난전로 83
061-462-3595
자연이 만든 반듯한 밥상 "더자반 본점"이다. 더자반은 생선구이, 조림, 요리 전문 프랜차이즈이다. 시즌별 다양한 생선과 매일 새로운 반찬으로 대접한다.
6.5Km 2024-05-17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삼포리 1894
F1 오토캠핑장은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 자동차 경기장인 F1 영암 자동차 경주장 내에 위치한 캠핑장이다. 관람석 뒤 도시 숲 조성구간에 텐트 사이트와 카라반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캠핑장에 비해 규모가 굉장히 큰 곳으로 다 돌아다니려면 차를 타고 다녀야 할 정도다. 그렇기에 성수기 때에도 자리가 없을까 봐 걱정할 일은 없다. 그만큼 큰 규모를 자랑한다. 또한 사이트마다 넓은 데크 사이트가 있어 넉넉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피크닉 테이블과 벤치가 따로 구비되어 있어 캠핑용 테이블과 의자는 따로 챙겨 오지 않아도 된다. 이곳은 자동차경주장에 위치한 만큼 카라반 사이트 이름도 ‘페라리’ 등 F1의 팀명으로 지정되어 있어, 고객의 자동차 취향에 따라 고르는 재미가 있다. 그리고 카트장에서 가족 단위의 캠퍼들은 사전 예약을 하면 어린이 캠퍼들과 함께 카트 경기 체험을 할 수 있다. 주변에 사륜 오토바이 체험장(ATV) 도 있다.
6.5Km 2025-03-16
전라남도 목포시 용당로160번길 32 (용당동)
1974년 목포시립도서관이 개관한 이래 목포어울림도서관, 목포어린이도서관, 목포영어도서관, 19개 작은도서관이 운영되고 있다. 목포시립도서관은 도서자료를 수집, 정리, 보존, 축적하여 시민의 정보이용과 문화활동, 평생교육에 도움을 주는 이용자 중심의 도서관으로 발돋움하고 있으며 언제나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도서관은 지하 1층을 포함한 지상 4층 건물로 편의를 위한 다양한 시설을 운영 중이다. 시설로는 종합자료실, 열람실, 어린이자료실, 디지털 자료실, 족보와 점자도서를 갖춘 족보·장애인 열람실, 고시실, 강의실 등이 있으며, 정보화 교육을 하는 IT 플라자실도 있다. 4년간의 리모델링을 거쳐 2022년 재 개관한 목포시립도서관은 여자 전용 열람실과 이용자 스스로 도서를 이용할 수 있는 자가대출반납기기등을 설치하여 목포시민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6.6Km 2021-03-13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영호길 42-13
061-533-1450
산지 활어회를 저렴한 가격으로 맛 볼수 있다. 대표메뉴는 모둠회이다.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6.6Km 2024-06-14
전라남도 목포시 남농로 83
옥장 장주원은 1996년 2월 1일 중요무형문화재 제100호로 지정되었다. 수려한 자연경관과 다양한 문화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갓바위 공원에 건립한 국가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은 부지 877평, 연건평 190평 규모로 전시실, 공방동, 부대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전수교육관 부지내에 자리잡은 옥공예전시관은 2005년 9월에 개관하여 전통 옥공예 기능을 체득 및 보존하고 전승시켜 민족문화의 맥을 잇고 새로운 문화 창조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공간이다. 전시실에는 옥장(국가무형문화재) 장주원 선생의 신비스러운 옥공예 예술세계를 감상할 수 있는 작품 200점을 전시하고 있으며, 공방동은 전통 옥공예의 맥을 잇고 재현하기 위한 전수생들의 교육장으로 활용될 뿐 아니라 진귀한 옥공예품을 직접 구입할 수 있다.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은 우리 것을 지키고 이어가는 장인정신을 배우는 훌륭한 교육장으로 활용되며, 바다와 역사가 어우러진 갓바위 공원에 또 하나의 관광명소로 각광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