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퇴계 오솔길 (녀던길)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안동 퇴계 오솔길 (녀던길) 정보를 소개합니다.

  • 안동 퇴계 오솔길 (녀던길)
  • 안동 퇴계 오솔길 (녀던길)
  • 안동 퇴계 오솔길 (녀던길)
  • 안동 퇴계 오솔길 (녀던길)
  • 안동 퇴계 오솔길 (녀던길)

설명

퇴계 오솔길은 ‘퇴계 녀던길’이라 전해오는데 조선 중기의 대학자인 퇴계 이황(1501~1570)이 즐겨 찾던 길이다. 녀던길 혹은 예던길이란 옛 선비가 다니던 옛길을 뜻한다. 1534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아간 퇴계는 여러 관직을 거친 뒤 쉰아홉살이 되던 해(1560) 고향인 안동으로 돌아와 도산서당을 짓고 학문에 열중하는 한편 후진 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이때 퇴계는 이웃한 봉화 청량산을 즐겨 찾았는데, 도산서당에서 낙동강 따라 청량산을 오갔던 이 길을 퇴계가 걷던 옛길이라고 해서 '퇴계 녀던길'이라고 부른다. 도산9곡 가운데 7의 단사곡, 8곡의 가송곡, 9곡의 청량곡이 몰려있는 곳으로, 청량산의 비경이 고스란히 간직되어 있어 수많은 시인, 묵객들이 이 길을 걸어가며 글을 쓰고 시를 지은 유서 깊은 길이다. 첩첩산중 유장하게 흘러가는 낙동강 물줄기 따라서 길은 끊어질 듯 이어지는 이 오솔길은 낙동강 상류의 비경 지대로 강 전체를 통틀어 가장 아름다운 길로 솔향기 그윽한 오솔길을 지나 시원한 학소대에서 청량산을 오가던 퇴계 선생의 발자취를 만나볼 수 있는 퇴계오솔길 코스가 조성되어 있다. 도산서원을 출발하여 퇴계종택-이육사문학관-농암종택-구하도-고산정까지 약 3.5km이다. 또한 청량산까지 이어지는 퇴계오솔길생태탐방로는 농암종택-옹달샘-삽재-학소대-올미재-약수터 코스와 농암종택-옹달샘-삽재-건지산-전망대 코스로 수변탐방로와 수림탐방로로 나뉘며 8.4km로 약 3시간 30분 소요된다. 퇴계 이황 선생은 이 길을 '그림 속'이라고 했고, 자신은 그림 속으로 들어간다고 했을 정도로 비경이 아름다운 길이다.


홈페이지

http://www.tourandong.com


이용안내

수용인원 : 제한 없음

체험 가능연령 : 전연령 가능

문의 및 안내 : 054-840-6591

주차요금 : 무료

주차시설 : 있음 (각 출발지점)

쉬는날 : 연중무휴

이용시간 : 상시 개방


상세정보

코스안내
- 대중교통추천코스
안동터미널-도산서원-퇴계종택-이육사문학관-농암종택-구하도-고산정-안동터미널 (도보코스 : 18.7km)

- 자가용추천코스
안동 도산서원-퇴계종택-퇴계오솔길-농암종택-고산정-광석나루-청량사-매호유원지

* 미천장담(彌川長潭)
우리말로 '매내 긴 소'이다. 강 건너 평평한 지역이'맹개'라는 지역이고, 강 우측 언덕이 삽재이며 좌측 수직 절벽이 '학소대'이다.
퇴계의 시가 있으며, 강변 너럭바위에는 시조새, 공룡 등으로 추정되는 발자국 화석이 대량으로 찍혀있다.
학소대 수직단애의 위로는 물길이 90도로 급박하게 우측으로 하회를 이루며, 병풍 같은 단애인 벽력암과 은빛 백사장이 나타나는데 여기서부터는 '가송협' 이고 이 일대 지명은 '올미재'이다.

* 경암(景巖)
경암은 과거 '백바위' 라고도 했는데, 어떤 연유로 그런 이름이 붙여진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4개의 바위가 물가에 친구처럼 붙어 있어 과연 5,6,인이 모여 즐길만하다. 퇴계는 청량산에 가던 도중 이바위에서 쉬면서 제자들을 기다리는 글을 남겼고, “경암'시에 ‘천년동안 물과 부딕쳤으나 그 모습 변함없고, 물속에 우뚝하여 아직도 늠름하다” 했다.

* 벽력암(霹靂巖)과 한속담(寒粟潭)
'벽력암'과 한속담'은 이 고장 읍지인 선성지(宣城誌)에 “벽력암 아래 깊이를 알 수 없는 소가 있음”, 이라고만 적혀있고 오가산지(吾家山誌)에, “일동(日洞 가사리)아래 두 개의 못이 있으니 '월명담'과 '한속담'이다.
그 아래 '경암'이 있는데, 위아래가 편편하여 5,6인이 앉을 만하고, 여기서 남쪽으로 '미천장담'이 구비 흐르고, 얼마나 지나면 백운동이라” 쓰여 있다.
이글을 보면 벽력암 아래 소는 '한속담'으로 추정되고, 학소대 아래 바위가 '경암'이 된다.

* 월명담(月明潭)
달빛 쏟아지는 연못 같아 선인들이 '못'이라 했다.
고요한 못 층 벽에 ‘도우단(禱雨壇)’ 이 있어서 고을수령들은 돼지를 잡아 기우제를 지냈고 이 전통은 30여 년 전까지도 주민들의 의해 이어졌다.
그 언어는 “용도용도 물 주소, 도량용도 물주소”였다. 이 말은 사물장단에 맞추어 제단 앞에서 오래도록 반복되었고, 이윽고 자정에 오면 제사를 지내고 돼지머리를 강물에 띄웠다.

* 고산과 고산정
‘고산정(孤山亭)’ 위 절벽은 ‘취벽(翠壁)’이며 맞은편 산이 ‘고산(孤山)’이고 가운데 강은 ‘도영담(倒影潭)’이라 했다.
고산정은 선조 때 명신 심희수의 시에 “그 진경은 그림이나 글로서는 묘사하기 어렵다(眞景難摹畵筆端)”의 구절처럼 절경의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정자 주인은 금란수(1530-1604)로 호가 성재(惺齎)이며 퇴계 제자이다. 부포가 고향인 성재는 이 ‘예던 길’을 따라 올라왔다가 여기에 눈길이 머물렀다.

* 농암종택
농암종택은 농암 이현보 (聾巖 李賢輔: 1467-1555) 선생이 태어나고 성장한 집이며, 직계자손들이 650여년을 대를 이어 살아오고 있는 집이다.
최초 이집을 지은 분은 영천이씨 안동 입향시조 이헌으로, 선생의 고조부이다. 종택은 2,000여 평의 대지 위에 사당, 안채, 사랑채, 별채, 문간채로 구성된 본채와 긍구당, 명농당, 등의 별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시설
산책로

위치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도산서원길 154

남원용암해수풀장

남원용암해수풀장

2025-11-07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남태해안로 140

제주도 서귀포시에 위치한 남원용암해수풀장은 지하 천연 암반 해수를 사용하여 일반 바닷물보다 더 시원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입장료는 3,000원이며, 파라솔과 평상도 유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외부 음식 반입이 가능하여 직접 준비해와 물놀이를 하면서 먹을 수 있다. 하지만 남은 음식물은 필히 가지고 가야하니 이 점 참고해야 한다. 남원용암해수풀장 내부는 유아공간과 어린이 공간이 나눠져 있어 아이들과 함께 여름철에 방문하기 좋다.

비진도 산호길

비진도 산호길

2025-11-03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비진도길 483

비진도는 섬에 미인이 많았다고 해서 미인도라 부르기도 했고, 충무공이 해전에서 승리한 보배로운 곳이라 비진도라 이름 붙였다. 섬에서 배를 내려 발걸음을 옮기다 보면 4.8㎞의 섬 둘레길이 아쉬우리만치 비진도, 그 섬의 매력에 푹 빠질 수 있다. 섬의 주봉인 선유봉(312m)을 에두르며 길은 내내 바다와 섬의 푸른 풍경 사이를 가로지르고, 불쑥 선유봉을 넘나드는 짙은 숲을 느낄 수 있다. 봄이면 동백이 흐드러지고 여름이면 바다는 더욱 짙푸른 빛깔을 띠다가, 가을과 겨울의 맑고 푸근한 정취로 살아가는 보물 같은 섬이며, 이름도 바다를 닮아 ‘비진도 산호길’이다.

개목나루 문보트

개목나루 문보트

2025-10-30

경상북도 안동시 민속촌길 26 (성곡동)

개목나루 문보트는 안동댐 월영교에 있는 선착장이다. 월영교의 밤 풍경을 더욱 돋보이게 해주는 레저 보트로 달빛에 반짝이는 월영교 다리 아래를 천천히 유람하듯 지나가는 보트 체험으로 인기있는 곳이다. 문보트와 황포돛배가 마련되어 있으며, 문보트는 조이스틱으로 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남에게 피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블루투스 스피커로 음악 재생, 마이크로 노래 부르기도 가능하다.

[제주올레 18-2코스] 하추자 올레

[제주올레 18-2코스] 하추자 올레

2025-10-2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 신양2길 28-8

제주올레 18-2코스인 하추자 올레길은 하추자의 신양항부터 추자면사무소까지 아늑한 해안길과 산, 마을까지 볼거리가 충만하다. 몽돌해안과 맞닿은 마을길을 지나 졸복산과 대왕산을 오르내린다. 산꼭대기에서 바라본 하추자 앞바다와 하늘은 서로 다른 푸른 빛깔로 접해있다. 묵리슈퍼를 지나 금파골로 들어서면 무성하게 자란 숲 사이로 고요한 생명력이 느껴진다. 하추자 올레길은 신양항에서 시작하여 졸복산, 대왕산 황금길, 묵리슈퍼, 추자교를 지나 종점인 추자면사무소에 이른다. 거리는 총 9.7㎞로 3~4시간 정도 소요된다.

장자늪 카누체험장

장자늪 카누체험장

2025-10-23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장천리

장자늪카누는 중원 문화의 발상지 충주의 수운교통 요지인 남한강에서 카누를 타고 즐길 수 있는 수상레포츠이다. 국내 유일의 수로형 카누체험으로 약 3.3㎞의 물길을 타며 열대 맹그로브 숲을 연상케 하는 갯버들 핀 수로를 만끽할 수 있다. 인근에는 목계나루, 중앙탑사적공원, 탄금호무지개길 등이 위치하여 레포츠 이용과 함께 평온한 여유를 함께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관광을 제공하고 있다.

계룡산갑사야영장

계룡산갑사야영장

2025-10-23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451

계룡산 갑사야영장은 계룡산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더불어 천년고찰 갑사와 인접해 있어 유구한 전통문화의 숨결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갑사야영장은 평지형으로 휠체어, 유모차접근성이 뛰어나며 생태놀이시설, 물놀이 시설이 있어 온 가족이 즐거운 야영을 즐길 수 있다. 영지 유형으로는 자동차 11동, 캠핑용 자동차전용 9동, 복합 2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릉스쿼시장

2025-10-23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남부로 222 (노암동)

강릉국민체육센터 스쿼시장

강릉볼링장

2025-10-23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남부로 222 (노암동)

강릉국민체육센터 볼링장은 시민들의 복지 증진과 생활체육활성화를 통한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2015년 4월부터 8월까지 지하1층, 지상2층 규모로 건립하였으며, 주요시설로는 볼링장 20레인, 기계실, 볼링숍, 휴게실, 대회의실 등을 갖추고 있습니다. 시민들의 건전한 스포츠 활동 참여로 더 건강하고 행복 삶을 공사가 함께하겠습니다.

강릉강북공설운동장

2025-10-23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연곡면 연주로 188

강릉국민체육센터

2025-10-23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수리골길 76 (교동)

1층에는 안내데스크와 탈의실, 장애인 가족탈의실, 수영장 등이 있고 2층에는 전망대와 GX룸, 음료자판기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