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정보를 소개합니다.

  •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설명

1868년(고종 5)에 제작되어 연대는 오래되지 않았지만 필선과 구도, 본존과 보살상의 얼굴모습, 산처럼 높이 솟아 있는 육계와 계주의 표현, 전체의 색조가 붉은 색과 파란색이 주조를 이루고 있는 점 등 19세기 중엽 이후 불화의 전형적인 특징을 모두 갖추고있으며,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한 작품으로 그 보존가치가 크다.
이 탱화는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보덕사의 사성전에 봉안되어 있던 것인데, 1998년 9월 2일 월정사 성보박물관으로 옮겨져 전시중에 있다. 화기(畵記)와 복장주머니에서 발견된 원문(願文)을 통해 1868년(고종 5) 자우(慈雨), 창우(敞遇), 창택(敞澤) 등이 그린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에는 커다란 불좌상(佛坐像)이 있고 그 좌우에는 보살입상(菩薩立像)이 배치된 후불탱화(後佛幀畵)이다. 중앙의 본존(本尊)은 오른손은 어깨높이로 올려 엄지와 검지를 맞대고 있고, 왼손은 발목 위에서 손바닥을 위로 하여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는 설법인(說法印)을 짓고 있다. 본존은 사각형에 가까운 얼굴에 이목구비가 오밀조밀하고, 나발(螺髮)의 머리 위에는 육계가 높고 뾰족하게 솟아 있으며, 커다란 정상계주와 반달형의 중심계주가 뚜렷하다.
본존 앞에는 오른쪽에 코끼리를 타고 있는 보현동자(普賢童子)가, 왼쪽에는 사자를 타고 있는 문수동자(文殊童子)가 있다. 본존의 좌우에는 화려한 보관(寶冠)을 쓴 보살입상이 꽃가지를 들고 서있고, 그 뒤로는 10대제자가 좌우에 각 5구(軀)씩 배치되어 있다.
이 불화는 조성기를 통하여 정확한 제작연도와 작가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존상태도 지극히 양호한 작품이다. 또한 필선이나 구도, 본존 및 보살상의 얼굴모습, 그리고 산처럼 높이 솟아 있는 육계나 계주(계珠)의 표현, 아울러 전체의 색조가 붉은 색과 파란색이 주조를 이루고 있는 점 등은 19세기 중엽 이후 불화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복장유물로 원문(願文)은 1868년(同治 7년, 고종 5년) 탱화를 조성하면서 발원하는 내용을 기록하였으며, 기타 복장유물로는 다라니 2매와 후령통 1점 등이 있다.
《복장유물》
복장유물은 이 탱화의 상단에 걸려 있던 복장주머니에 봉안되어 있던 것으로, 원문(願文) 1매, 후령통(喉鈴筒) 등 《조상경(造像經)》의 「제불복장단의식(諸佛腹藏壇儀式)」에서 밝히고 있는 품목들을 자세히 볼 수 있다.
원문은 1868년(同治 7년, 고종 5년)에 탱화를 조성하면서 발원하는 내용을 기록하였는데, 화기와 비슷한 내용이다. 복장주머니(腹藏囊)는 탱화의 상단에 본존(本尊)을 중심으로 좌우에 하나씩 2개가 걸려 있는데 삼산형(三山形)의 상부와 타원형의 하부 등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후령통(가로 11㎝, 세로 3.3㎝, 높이 15㎝)은 사각형으로 종이로 만들었는데 위아래에한 글자씩 붉은 범자(梵字)를 썼고 안에는 5색(紅, 黃, 白, 靑, 綠)의 종이로 싼 오색의 실이 들어 있다.
그 외에도 후령통을 쌌던 보자기(黃梢幅子), 팔엽대홍련주(八葉大紅蓮呪), 천원(天圓), 지방(地方, 금강을 나열한 그림), 범자로쓰여진 진언(眞言) 2매(26×21㎝, 19.8×19.8㎝)와 오륜종자(五輪種子), 오방경(五方鏡), 범자를 한 글자씩 적은 작은 종이 등이 남아 있어 조상경(造像經)의 제불복장단의식(諸佛腹藏壇儀式)에서 언급된 의불화 복장의 일체 유물들을 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이용안내

문의 및 안내 : 033-339-7000

주차시설 : 있음

쉬는날 :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추석 당일

이용요금 : 없음.

이용시간 : 동절기 09:30~16:50 하절기 09:30~18:00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82 월정사 성보박물관

거암아트홀

거암아트홀

2025-11-21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652 (신사동)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복합문화예술공간 거암아트홀은 전문가들의 기술 자문을 바탕으로 각 분야 팀을 구성하여 음향을 구현한 공간이다. 모든 좌석이 VIP석인 거암아트홀은 명료하고, 풍부하며 입체적인 음향으로 아름답고 강렬한 문화예술의 가치를 선사하고 있으며, 음향 시뮬레이션을 통해 클래식에 최적인 잔향 값을 도출하였고 음향, 조명 장비들을 다양하게 보유하여 연주자와 관객들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거암아트홀에서는 독주부터 체임버 오케스트라까지, 클래식부터 재즈까지 장르와 시대를 아우르는 감동을 느낄 수 있다.

더샵갤러리

더샵갤러리

2025-11-20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로 210 (자곡동)

더샵갤러리는 2023년 9월 개관한 포스코이앤씨의 복합문화관으로, 단순한 모델하우스를 넘어 고객이 직접 체험하며 새로운 주거 경험을 제안하는 공간이다. 이곳에서는 더샵이 추구하는 철학과 혁신적 주거 트렌드를 바탕으로, 친환경 자재와 스마트홈 시스템, 세련된 인테리어가 어우러져 쾌적하고 안전한 미래형 주거환경을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연을 담은 건축을 콘셉트로 시간과 계절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풍경을 반영하며, 포스코의 다양한 강건재를 활용한 열린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샵갤러리에서는 주거문화 전시와 체험뿐 아니라 공연과 문화 프로그램이 함께 운영되어 고객에게 도심 속 공원 같은 여유를 선사한다. 이처럼 더샵갤러리는 주거와 문화를 아우르며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는 특별한 장소이다.

시흥 해양생태과학관

시흥 해양생태과학관

2025-11-19

경기도 시흥시 거북섬서로 35 (정왕동)

해양생태과학관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향후 해양동물의 구조·치료기관 지정(예정)을 통해 생명의 소중함을 배우는 환경 교육기관이다. 시흥의 아름다운 갯벌과 해양동물을 직접 만나고 체험할 수 있으며, 해양생태계 보호활동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해양생태계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진월 조선수군지 선소기념관

진월 조선수군지 선소기념관

2025-11-13

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선소중앙길 31

진월 조선수군지 선소기념관은 조선 수군과 해상 의병활동을 펼친 광양만과 선소 유적지를 바탕으로 한 호국정신 함양 및 복합문화체험 공간이다. 해당 건축물은 1956년 건립되었으며 진월면사무소로 사용되었다. 지역을 대표하는 근현대건축유산으로서 보존가치가 인정되어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보호·관리되고 있다. 기념관 내부는 총 6개의 공간으로 구분되어 광양만과 해상 의병의 역사에 대해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문산도서관

문산도서관

2025-11-11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방촌로 1671

문산도서관은 1994년 9월 27일, 파주시 최초의 공공도서관으로 문을 열었다. 30여 년 동안 시민의 삶 속에서 책과 함께 성장하며, 지식과 문화가 흐르는 파주 북부권의 중심이 되어 왔다. 2025년 9월 30일 확장 이전하여 시대의 변화에 맞춰 새롭게 도약하고 있다. 모두에게 열려 있는 포용과 동행의 공간, 지적 탐험을 이끄는 탐험과 배움의 터전, 그리고 함께 성장하며 미래를 그리는 성장과 미래의 도서관이다. 세대를 잇고 지역과 세계를 포용하며 누구나 자유롭게 소통하는 열린 공간, 문산도서관은 일상 속에서 언제나 함께하는 시민의 평화로운 베이스캠프이다.

경기도서관

경기도서관

2025-11-11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도청로 40 (이의동)

경기도서관은 도민 모두가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지식문화 플랫폼으로서, 기후·환경, 인공지능, 사람 중심 등 시대적 가치를 반영한 미래형 도서관이다. 단순한 자료의 보관과 대출 기능을 넘어 참여와 소통이 이루어지는 열린 문화공간으로, 다양한 세대가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공공의 장이다. 아동의 창의력 함양, 청년의 역량 강화, 노년층의 지혜 확산을 통해 세대 간 연대와 배움을 촉진하는 모두의 도서관이다. 경기도서관은 도민의 일상 속에서 문화적 만족과 정신적 풍요를 제공하며, 지식문화 생태계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앞으로도 도민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지속 가능한 지식문화 환경을 조성하고, 신뢰받는 공공기관으로서의 책임과 역할을 성실히 수행할 것이다.

원주시 문화공유플랫폼

원주시 문화공유플랫폼

2025-11-11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평원로 22 (평원동)

원주시 문화공유플랫폼은 원주 시민들의 문화예술 기회 향유를 위하여 만들어진 시설이다. 2025년 8월 개관하였으며, 2025년에는 대관을 중심으로 운영하여 ‘시민들이 만들어가는 문화시설‘로 운영 할 계획이다. 문화예술동아리, 지역예술인들에게 동아리방을 대관하여 문화예술 창작활동을 장려하고, 시민들이 주체가 되는 공연 및 전시를 진행하여 문화도시 원주를 만드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6년부터는 문화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문화예술 체험활동 역시 제공할 예정이다.

복합문화공간 111씨엠(111CM)

복합문화공간 111씨엠(111CM)

2025-11-06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수성로 195 (정자동)

정조대왕은 수원화성을 축조하며 백성들을 구호하기 위해 대유평이라는 이름의 둔전을 설치했다. 이 대유평은 수원 북부 지역에서 가장 넓은 평야 지대로, 수리시설을 갖추고 있어 농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60년대에는 산업화의 시작과 함께 연초제조창이라는 역할이 더해졌다. 수원 연초제조창은 1971년부터 2003년까지 1,500여명의 노동자들이 연간 1,100억 개비의 담배를 생산하는 수원의 산업발전을 이끈 상징과도 같은 공간이었다. 하지만 이 연초제조창은 담배 산업의 정체와 공장 자동화 및 집적화 등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점차 축소되어 2003년 3월 14일을 마지막으로 가동을 중단했다. 그렇게 아무 쓸모 없이 방치된 후 20년, 조선시대부터 수원의 발전을 이끈 이곳의 역사를 보존해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도시개발과 리모델링을 통해 담배 공장의 일부를 남겨 수원시민의 일상에 녹아든 커뮤니티 공간으로 만든 것이다. 수원시 정자동 111번지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111CM의 이름은 111번지라는 지번과 모두가 하나되는 공동체를 희망하는 의미의 커뮤니티를 조합해 탄생, 비로소 2021년 11월 1일 개관했다.

북한인권전시실

북한인권전시실

2025-11-06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393 (관철동)

북한인권전시실은 북한인권 상설전시 공간이다. 작은 공간이지만 깊은 울림을 주는 이곳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북한 인권 침해의 현실을 기록하고 증언하는 다크투어리즘 공간이다. 이 전시실을 운영하는 북한인권정보센터(NKDB)는 북한 주민들에 대한 인권 기록을 전 세계에서 가장 방대하게 수집·아카이빙하고 있는 기관이다. 그만큼 이곳에서 마주하는 증언과 기록은 어디서도 쉽게 접할 수 없는 살아 있는 역사이며, 현재 진행 중인 이야기이다. 기록을 포함해 기증된 북한의 물건들을 통해 북한의 오늘을 들여다볼 수 있을 뿐 아니라, 탈북민 작가들의 예술작품을 만날 수 있다.

군산항1981

군산항1981

2025-10-23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내항1길 12 (장미동)

군산항 1981은 1981년에 건립된 구) 여객터미널을 리모델링하여 새롭게 조성한 복합문화쉼터이다. 한때 군산의 해상 관문이었던 여객터미널은 시대 변화로 이용이 줄어들며 기능을 상실했으나, 리모델링을 통해 과거의 역사적 의미와 현대적 문화 기능을 결합한 공간으로 재탄생하였다. 단순한 휴게 공간을 넘어 관광 안내, 전시, 공연, 체험 프로그램이 결합된 다목적 복합문화쉼터로서 여행자들은 편안한 휴식과 지역 문화를 체험할 수 있으며, 군산 관광의 거점이자 시민과 방문객 모두를 위한 열린 문화공간이다.